[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등 전력망 운영을 담당하는 각 기관들이 개별로 관리하고 있던 전력망 운영 정보들이 이르면 이번 6월부터 실시간으로 통합 연계돼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한국전력공사, 전력거래소 등 전력망 운영을 담당하는 각 기관들이 개별로 관리하고 있던 전력망 운영 정보들이 이르면 이번 6월부터 실시간으로 통합 연계돼 운영될 예정이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https://cdn.industrynews.co.kr/news/photo/202503/61792_70274_1829.jpg)
산업통상자원부는 3월 28일, 서울 양재 엘타워에서 ‘신재생에너지 통합관제 정책 세미나’를 개최하고, 전력망 실시간 통합관제를 위한 그간의 진행 성과와 계획, 추가적인 개선 필요사항에 대해 관계기관 및 전력계통 분야 전문가들과 논의를 진행했다.
기상 상황에 따른 발전량 변화가 큰 비중앙발전기 설비용량은 지난 10년간 5배 이상 증가한 33.8GW로 증가했다. 이는 전체 사업용 발전기의 22.3%를 차지하는 규모다. 2015년 사업용 발전기 중 비중앙 발전기의 설비용량과 비중은 각각 5.84GW, 6.2%를 기록했다.
비중앙발전기는 전력망 운영자가 실시간 전력망 운영 상황에 따라 필요시 공급을 조정하며, 경부하기 대응상황 발생 등 전력망 운용의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비중앙 발전기들의 발전량 실시간 파악 및 제어에 대한 정보통합 운영이 중요해지고 있다.
현재 전력망 모니터링 체계의 경우, 전력거래소 154kV 이상 송전 자원, 한전은 154kV 미만 송·배전 자원을 담당해 운영하고 있다.
이에 대응하기 위해 전력당국은 지난해 부터 전력망 운영자들의 정보시스템을 실시간으로 통합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여왔다. 그 결과 지난 2월까지 정보연계를 위한 데이터기준, 시점 등을 결정하고, 실제로 시험운영을 통한 보완 과정 등을 거쳤다.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시스템 운영 안정화 등을 거쳐 6월에는 본격적인 정보 통합운영에 들어갈 계획이다.
세미나에 참석한 산업부 최연우 전력정책관은 “전력계통 불안정 우려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협조 운영을 위해서는 각 기관별 시스템을 연계, 모니터링 정보를 실시간 공유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증가하는 재생에너지가 우리 전력망에 성공적으로 연계되고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모니터링·제어 체계 구축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명승엽PD의 이슈리포트] 美-中 태양광 관세전쟁 발발… 글로벌 혼돈 속 ‘가장 저렴한 재생에너지원’ 등극
- [법으로 푸는 태양광 이슈①] 무제한 접속제도 폐지에 따른 태양광발전 사업 시 고려할 점
- [스페셜리포트] 산업용 전기요금 인상에 온사이트 PPA 급성장… ‘탈(脫) 중앙화’ 본격화
- 한전, 해상풍력 연계 송전선로 구축… ‘습지보전법 시행령’ 개정 이끌어
- 전력거래소-한국에너지공과대학교, 에너지 신기술 교육·연구 맞손
- 전력거래소, 2025년도 BESS 중앙계약시장 설명회 개최
- 전력거래소, 태양광 협단체와 소통… 전력시장·계통안정 방향 논의
- 한전, AI개발 활성화 위해 4개 에너지기관과 ‘맞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