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dustry News 박관희 기자] 태양광 민간발전사업자들의 발전실적이 제주에서 연평균 약 90%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상자원벤처중소기업위원회 소속 박정 의원이 한국전력거래소(이하 전력거래소)로부터 제출받은 ‘2013년~2016년 민간발전사업자 발전실적 현황 자료’에 따르면, 태양광발전 분야에서 출범한지 만 4년 된 세종을 제외하고 제주가 가장 높은 비율(83.9%)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 |
2016년을 기준으로 전남은 민간발전사업자가 광역자치단체 중 475개 업체로 가장 많았고, 55만5,794Mwh의 실적을 내 가장 높은 발전실적을 보였다. 이어서 충남이 22만2,298Mwh, 경북이 19만5,087Mwh으로 뒤를 이었다. 가장 높은 연평균 증가율(83.9%)을 보인 제주는 민간발전사업자가 422개 업체로 광역자치단체 중 두 번째 많았지만, 발전실적은 6번째인 8만6,826Mwh를 기록했다.
제주에 이어 연평균증가율이 높은 지역은 충남, 강원, 경기, 서울이 50%를 넘었고, 대구, 광주, 인천, 충북, 경남, 대전, 전남, 경북, 전북, 부산, 울산이 하위권을 형성했다.
울산의 경우 2016년 기준 1,789Mwh의 실적을 냈으며 연평균 5.7%의 증가율을 보여 가장 저조한 실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울산 소재의 태양광 발전사업자 수 역시 12개 업체로 세종을 제외하고 가장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인천은 대전보다 많은 32개 업체가 소재해있지만, 발전실적에서는 울산, 세종에 이어 세 번째로 낮은 실적을 기록했다.
![]() |
박정 의원은 산업 활성화를 위해 각종 규제들을 산업부에서 통합관리해야 한다고 밝혔다. [사진=Industry News] |
박정 의원은 “최근 산업연구원의 보고서에 따르면 에너지원 중 태양광발전 분야에서 일자리 창출효과가 가장 높은 만큼 적극적으로 육성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지자체별로 다른 허용기준은 산업부 차원에서 통합 관리하는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