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 호주리튬광산 인수해 리튬생산 늘린다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8.03.04 10: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스코가 호주 리튬광산개발 기업을 인수하고, 이를 통해 리튬정광 생산을 최대 80만톤까지 늘려나간다. 포스코는 기존 자동차강판보다 더 가벼우면서도 강도는 훨씬 높은 '기가스틸'을 개발해 차체 경량화를 선도하고 있으며, 그동안 수입에만 의존해왔던 전기차 배터리용 리튬을 국내 최초로 상업생산 중이다.

리튬 생산, 양극재와 전기차 이차전지에 활용

[Industry News 박관희 기자] 포스코가 호주 리튬광산 업체의 지분 인수와 함께 원료를 안정적으로 확보함에 따라 리튬사업이 본궤도에 오르게 됐다.

포스코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이차전지와 전기차 등을 선택하고 관련 역량을 제고시켜나가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개최된 전기차 포럼. [사진=포스코]
포스코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이차전지와 전기차 등을 선택하고 관련 역량을 제고시켜나가고 있다. 사진은 지난해 개최된 전기차 포럼. [사진=포스코]

포스코는 27일 호주 광산개발 기업인 필바라(Pilbara Minerals)와 회사 지분 4.75%(79.6백만 호주달러)와 이에 상응하는 규모의 전환사채를 인수하고, 포스코 단독사업 추진시 8만톤, 상호합작시 연간 최대24만톤 리튬정광을 장기구매하는 계약을 체결했다. 필바라는 서호주에 위치한 필강구라(Pilgangoora) 리튬광산 지분 100% 보유한 광산개발 전문기업으로 금년 하반기부터 리튬정광 30만 톤 생산을 시작으로 단계적으로 최대 80만톤까지 생산을 늘려나갈 계획이다. 필바라의 지분은 포스코의 호주 현지 법인 POSCO-Australia가 인수한다.

포스코는 이번 계약을 통해 원료 공급사인 필바라와 함께 2020년부터 연산 3만톤 규모의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대량 생산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했다. 필바라는 포스코의 리튬추출기술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전환사채 발행으로 획득한 수익금으로 리튬공장에 지분 30%를 투자할 계획이다.

2020년부터 생산되는 3만톤의 리튬은 양극재를 만드는 포스코ESM, 포스코-화유코발트 양극재 생산법인, 국내 주요 이차전지 업체 등에 납품할 예정이다.

그동안 포스코는 미래 신성장 사업으로 이차전지소재사업을 추진하면서 2010년부터 리튬직접추출 기술을 독자개발에 나서 7년만에 기존공법에 비해 획기적으로 경쟁력이 우수한 PosLX 기술개발에 성공했다.

PosLX기술은 기존 리튬추출기술이 염수를 자연 건조해 최소 12개월이 소요된 반면에 3개월 이내면 리튬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기후의 영향을 적게 받고, 리튬회수율도 종전 50% 미만에서 80%로 끌어올림으로써 경제성도 뛰어나다.

포스코 리튬사업은 염호를 보유하고 있는 남미 국가 내 파트너 기업들의 부도등으로 염수 확보가 지연되면서 사업추진에 차질을 빚게 되기도 했다. 이에 포스코는 염수뿐만 아니라 폐이차전지나 광석에서 리튬을 추출할 수 있는 기술도 독자개발에 나섰고, 지난해 2월 광양에 연산 2,500톤 규모의 탄산리튬 상용화 플랜트를 준공하기에 이르렀다.

이 설비는 염수뿐만 아니라 폐이차전지 원료와 광석을 이용하여 수산화리튬과 탄산리튬을 생산할 수 있다. 지난해에는 폐이차전지 원료에서 240톤 탄산리튬을 생산하는데 성공했으며, 매출도 26억원 기록했다.

포스코는 최근에 남미 지역에서 자연염수 확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어, 폐이차전지와 광석과 함께 3가지 원료를 확보하게 되어 원료 수급의 안정성을 높이게 되었을 뿐 아니라 원료별 가격변동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 경쟁력도 더욱 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