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술 혁신으로 산업·직업별 고용 변화 더욱 가속화
  • 전시현 기자
  • 승인 2018.03.11 0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고용노동부는 4차 산업혁명은 인구고령화 및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저성장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4차 산업혁명 따른 국내.외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해 경제와 산업구조를 혁신할 경우 경제성장은 물론 일자리도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생태계 조성 시급

[Industry News 전시현 기자] 고용노동부는 4차 산업혁명위원회에서 "2016~2030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전망"을 보고했다.

보고 결과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따른 국내.외 환경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여 경제와 산업구조를 혁신할 경우 경제성장은 물론 일자리도 더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4차 산업혁명은 인구고령화 및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저성장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사진=pixabay]
4차 산업혁명은 인구고령화 및 생산가능인구 감소에 따른 저성장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사진=pixabay]

다만, 기술 혁신에 따른 고용 변화는 더욱 가속화되어, ’30년 직업별로 증가하는 일자리는 92만명이고, 감소하는 일자리는 80만명으로 총 172만명의 고용변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인력수요전망'은 올해 처음 실시하는 것으로 지난해 3월 이후 국책·민간연구기관, 대학, 기업 등에서의 전문가들이 참여하여 관련통계를 확충하고, 모형을 개발해 전망했다.

또한, 4차 산업혁명 기술 전문가 FGI 및 직업 전문가 델파이 조사 등 정성적 결과도 반영하여 인력수요 전망 결과를 도출하였다.이번 전망은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노동시장 변화 모습을 기준전망과 혁신전망 2가지 시나리오로 나눠 진행했다.

기준전망은 4차 산업혁명을 포함한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해 특별한 대책을 강구하지 않고 최근의 성장 추이가 그대로 지속되는 상황을 반영했다. 또 혁신전망 4차 산업혁명에 따른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응, 경제.산업구조 혁신을 통해 성장을 유도하는 상황을 가정해 전망했다.

총괄적인 기준전망은 저출산.고령화 가속, 생산성 둔화 등 공급여건 악화와 국가 간 경쟁 심화로 수출여건이 악화됨에 따라 성장률이 점차 둔화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혁신전망에서는 4차 산업혁명에 따른 새로운 기술개발에 대한 투자 확대로 수출 경쟁력이 향상되고, 소득 증가에 따른 소비 확대 등으로 성장률 둔화 속도는 큰 폭으로 감소할 전망이다.

한편, 4차 산업혁명 기술의 산업 간 융.복합화로 제조업뿐만 아니라 서비스업에서도 성장이 증가할 전망이다. 또 4차 산업혁명과 직접 관련된 조립가공 산업과 중간재를 공급하는 기초소재 산업을 중심으로 성장할 전망이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는 전자통신과 전기장비(전기제어장치, 배터리 등) 등에서 성장이 가장 크게 개선되며 화학제품, 화학섬유, 의약품 등의 산업도 수요 증가에 따라 성장할 것으로 보인다.

4차 산업혁명 대응하기 위해서는 우선 생태계 조성이 필요하다. 기술혁신 지원을 위한 인프라 구축과 민간투자 확대를 위한 규제개혁 필요하다. 특히, 4차 산업혁명 관련 대·중소기업 간 격차 해소를 위해 중소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강화 및 스마트공장 확산, 벤처기업에 대한 지원 확대 등 필요하다.

그 외 전문인력 양성, 산업안정만 확대, 규제완화, 개인정보보호, 일자리대체 등 4차 산업혁명 추진 과정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를 논의·해결하기 위한 노사정위원회 등 사회적 합의 기구의 활성화가 조성되어야 한다.

고용노동부 관계자는 "4차 산업혁명은 인구고령화 및 생산가능인구(15∼64세) 감소에 따른 저성장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다만, 산업과 고용, 직업구조 등에 큰 변화가 예상되는 만큼 중장기적 관점에서 체계적인 준비가 필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