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연구원, 한·독 스마트 팩토리 비교 정책 비교 및 시사점 보고서 발간
[인더스트리뉴스 방제일 기자] 스마트 팩토리 구축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은 중소기업을 중심으로 차츰 높아져가고 있다. 그러나 어떻게 어떤 시스템을 도입할 것인지에 대한 의문과 더불어 불안감은 한층 증폭됐다. 아직까지 국제 표준이 정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하는 것은 자칫 매몰비용으로 작용할 지도 모른다는 두려움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현재 진행되고 있는 정부의 스마트 팩토리 보급 사업의 경우 낮은 단계의 생산정보 디지털화 정도로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 이 점에서 최근 중소기업연구원은 독일과 한국의 스마트 팩토리를 비교·분석한 보고서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독일의 경우 스마트 기술의 산업현장 적용 및 확대를 위한 ‘중소기업 4.0’ 정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사진=dreamstime]](/news/photo/201808/25974_17183_1122.jpg)
특히 독일은 전국적으로 23개의 ‘중소기업-역량센터’를 구축해 컨설팅 및 기술이전이 용이토록 하고 있으며 350여개 모범사례를 온라인 지도를 통해 상세하게 제공해 스마트 팩토리 구축 효과를 실감할 수 있도록 수요기업 중심의 시책을 추진하고 있다. R&D 과제 추진에 있어서도 중소기업의 투자회수성을 감안해 중소기업이 적용할 수 있는 프로토타입 형태의 솔루션이나 디바이스 개발을 지향하고 있다.
반면 대한민국의 경우 스마트 팩토리 보급사업의 실효성 제고를 위해서 정보부족 문제를 최우선적으로 해소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구축비용 및 효과에 대한 확신을 갖도록 해 투자의 불확싱성을 해소할 필요성도 거론되고 있다. 아울러 수요기업이 자사에 맞는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할 수 있는 안목을 갖도록 하는 시책에 중점을 둘 필요도 있다.
수요기업 중심의 시책은 현장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기술개발을 촉진함으로써 수요기업과 공급기업간의 괴리를 없앨 수 있다. 또한 공급업체간 경쟁을 유발해 시장을 통한 공급산업의 경쟁력 제고 효과 역시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