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액 500대 기업 93%, 경기 악화에도 ESG경영 유지‧확대한다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3.02.20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ESG 중 가장 중요한 이슈, E(환경) 82%, S(사회) 9%, G(지배구조) 9% 순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2023년 ESG 경영 규모는 작년보다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여론조사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매출액 500대 기업 ESG 실무자를 대상(100개사 응답)으로 ‘2023 ESG 트렌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 93.0%가 올해 ESG 경영 규모를 작년 수준 이상으로 유지하겠다고 응답했다.

전경련은 올해 ESG 사업 규모 확장의 배경을 기후 위기 극복을 위한 글로벌 공감대 확산과 사업구조 전환을 통한 ESG 경영 환경의 정착으로 분석했다.

2023년 ESG 사업 규모(왼쪽), EㆍSㆍG 중 올해 중요 이슈 [자료=전경련]
2023년 ESG 사업 규모(왼쪽), EㆍSㆍG 중 올해 중요 이슈 [자료=전경련]

실무 주요 이슈 환경(82.0%)이 가장 높아

ESG 중 가장 중요한 이슈로는 E(환경)이 82.0%로 가장 높았다. S(사회)와 G(지배구조)는 각각 9%였다. 올해 환경 분야 이슈로는 △탄소배출량 감축이 47.0%로 가장 높았으며 △신재생 에너지 전환 17.1% △친환경 기술개발 17.1%, △대기‧수질 오염관리 9.7% △순환경제 활성화 9.1%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들은 NDC 2030 온실가스 감축 목표 달성을 위한 기후변화 대응전략과 구체적 감축목표도 수립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 약 절반(48.0%)은 기후변화 대응전략을 수립했고, 58.0%는 구체적인 탄소감축 목표를 설정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 분야 주요 이슈로는 △산업재해(안전ㆍ보건 관리)가 31.1%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노사관계(15.3%) △공급망 ESG 리스크 관리(14.4%)를 주요 사회 이슈로 꼽았으며, △인권경영(12.0%) △인적자원관리(9.1%) 제품‧서비스 품질관리(6.7%) △다양성‧포용성(4.8%) △지역사회관계(4.3%) 등이 뒤를 이었다.

거버넌스 주요 이슈로는 △준법‧윤리경영 시스템 강화 38.5% △ESG 정보공시‧평가 대응 28.0% △ESG위원회 운영 실효성 확보 16.8% △이사회 전문성‧다양성 확보 16.1% 순이었다.

기업 두 곳 중 한 곳은 협력사와 공급망 ESG 관리를 시행하거나 시행할 계획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주요 공급망 ESG 관리 내용에 대해서는 △공급망 ESG 전반에 대한 관리가 50.0% △탄소배출량 관리 등 환경 실사 27.6% △강제노동 금지 등 인권 실사 9.2% 순이었다.

전경련은 이에 대해 올해부터 독일에서 공급망 인권 실사(Due Diligence)가 의무 적용되고 글로벌 주요국이 공급망 ESG 관련 규제를 시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향후 기업들의 공급망 ESG 관리는 더욱 중요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공급망ㆍ협력사 ESG 관리 여부(왼쪽), 주요 공급망 ESG 관리 내용 [자료=전경련]
공급망ㆍ협력사 ESG 관리 여부(왼쪽), 주요 공급망 ESG 관리 내용 [자료=전경련]

글로벌 ESG 규제 다변화 대비한 국내 대응 역량 강화 필요

기업은 ESG 경영 수행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ESG 관련 규제의 다변화‧고도화(35.4%)를 꼽았다. △전문인력 등 ESG 관련 전문성 부족(21.7%)이 뒤를 이었고, 그 외 △ESG 평가부담 심화(16.8%) △과도한 비용 소모(15.5%) △낮은 사업 관련성(9.9%) 순이었다.

정부‧국회 등에서 추진해야 할 ESG 지원정책으로는 △글로벌 ESG 규제 대응 역량 강화가 30.3%였으며 △ESG 전문인력 육성(27.0%) △감세‧공제 등 세제지원 확대(24.3%) △자금조달 등 금융지원 확대(17.8%) 등이 뒤를 이었다.

기업은 ESG 평가대응에 대한 어려움도 토로했다. △평가업체마다 다른 평가결과로 인한 예측가능성 저하가 ESG 평가 대응의 가장 큰 어려움으로 꼽혔고(56.0%) △평가요소 비공개로 인한 평가 대비 어려움(21.0%) △ESG 컨설팅 비용 부담(17.0%)이 뒤를 이었다. 전경련은 이를 평가기관이 다양해지면서 구체적인 평가요소가 공개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진단하고, 평가요소 공개를 통해 기업의 ESG 평가 대응능력을 제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또 ESG 정보공시 활성화를 위한 지원사항으로는 △국내 공시제도 간소화‧단일화가 38.0%로 가장 높았고 그 외 △공시 전문인력 육성 지원(32.0%) △공시 대비 유예기간 부여(20.0%) 등이 꼽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