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플랫폼과 연계…K-방산 수출경쟁력 강화·사업 창출 기대

[인더스트리뉴스 김기찬 기자]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이 국내 기업과 협업해 고속무인기용 '온디바이스 인공지능(AI) 반도체' 개발에 협력한다. 이를 통해 유무인 복합체계에 '온디바이스 AI 반도체'를 적용하고 K-방산의 수출경쟁력 강화 및 사업 창출에 시너지를 내겠다는 복안이다.
KAI는 산업통상자원부,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한국반도체산업협회, 한국팹리스산업협회와 함께 방산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개발 협력에 나선다고 23일 밝혔다.
이전에도 각 기관과 KAI, 현대차, LG전자, 두산로보틱스 등 관련 업계는 20일 서울 웨스틴조선호텔에서 개최된 'AI 반도체 협업 포럼'에서 미래 신시장 전점 및 국내 팹리스 역량 강화를 위한 K-온디바이스 AI 반도체 기술 개발 협력에 관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AI 반도체는 디바이스(제품)에 탑재돼 클라우드와 서버 연결 없이도 자체적으로 AI 추론 연산이 가능한 반도체다.
실시간 연산, 높은 보안성, 낮은 네트워크 의존성, 저전력 등이 AI 반도체의 장점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방산용 AI 반도체의 경우는 높은 보안성과 신뢰성을 요구한다.
KAI는 AI Pilot 기술 구현에 방산용 AI 반도체를 적용하여 유무인 복합체계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온디바이스 형태의 자율 제어 시스템(ACS)을 개발하고 AI Pilot 기술을 유무인 복합체계를 위한 AAP(Adaptable Aerial Platform), 통신위성 등에 접목시켜 활용하는 것이 골자다.
또한 유무인복합체계의 핵심 기술인 AI 기반 기술 획득을 통해 첨단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고 기존 플랫폼과의 연계를 통한 수출경쟁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기존 항공기와 AI 기술연동을 통해 유무인복합체계 기술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반점으로도 작용할 전망이다.
KAI 관계자는 "T-50, FA-50 기본 구성에 유무인 복합 능력을 갖추고 기존 전투기 시장에서 차별화된 능력을 보여줘 전 세계 시장에서 다양한 사업 기회 창출이 기대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