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w ICT 기술 도입… 4차 산업혁명 텃밭으로
[인더스트리뉴스 박관희 기자] SK텔레콤은 7,020억원을 투자해 ‘ADT 캡스’ 지분 55%와 경영권을 확보하며, ‘맥쿼리’는 5,740억원을 투자해 지분 45%를 보유해 양사가 ADT캡스를 공식 인수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양사가 인수하는 회사는 ADT캡스 주식 100%를 보유한 ‘사이렌 홀딩스 코리아’(Siren Holdings Korea)이다. 양사는 ‘사이렌 홀딩스 코리아’의 기업가치를 부채 1조7,000억원을 포함해 기업가치 2조9,700억원으로 평가했다. 이는 ADT캡스 에비타(EBITDA·법인세, 이자, 감가상각비 차감 전 이익)의 11배 수준이다.
해외 주요 보안기업이 인수·합병될 때 기업가치 평가가 평균적으로 에비타의 11.7배에서 이뤄졌음을 고려하면 2조9,700억원은 적정한 수준으로 평가된다. 양사는 8일 매각 주체인 ‘칼라일’과 주식매매계약을 체결한 뒤, 기업결합 신고 및 승인 등 절차를 거쳐 이르면 3분기 내에 인수를 완료할 계획이다.
ADT 캡스는 57만명 가입자를 확보한 국내 2위 물리보안 사업자이다. 출입·시설 관리 등 재화에 대한 물리적 보호가 주 사업 영역이다. 국내 시장의 약 30%를 점유하고 있다. 2017년 매출 7,217억원, 영업이익 1,435억원의 실적을 달성했다.SK텔레콤은 성장성이 높은 보안 산업에 진출한다. 구글 · 아마존 등 글로벌 ICT기업들도 최근 이 분야에 적극적으로 뛰어들고 있다. SK텔레콤은 오래도록 준비해온 영상보안기술과 AI, IoT, 빅데이터 등 New ICT 기술을 적극 도입할 계획이다. 나아가 보안 산업을 4차 산업혁명 혁신이 본격화 되는 텃밭으로 육성한다는 방침이다.
![SK텔레콤은 7,020억원을 투자해 ‘ADT 캡스’ 지분 55%와 경영권을 확보했다.[사진=SK텔레콤]](/news/photo/201805/23541_14253_2135.jpg)
ADT캡스는 SK텔레콤이 추진하는 New ICT와 결합해 차세대 보안사업자로 거듭날 전망이다. SK텔레콤은 과거에 없던 새로운 보안 서비스와 사업 모델을 만들어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SK텔레콤은 AI·IoT·빅데이터 등 New ICT기술을 활용한 통합 보안 시스템 구축을 검토 중이다. 기존에는 보안 관리자가 육안으로 영상을 감시하며 상황을 판단했지만, 통합 보안 시스템을 활용하면 보다 정확하고 신속한 위급 상황 파악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열 감지 센서를 활용하면 더 빨리 화재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상 징후를 AI가 스스로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행동이 카메라나 센서 등에 포착되면 자동으로 보안 관리자에게 경고를 보내거나 출동 명령을 내릴 수 있다. 사고 발생 가능성이 높은 곳에 미리 경비 인력과 차량을 배치하는 등 AI 관제를 통한 사전 예방 조치도 가능하다.
사업자는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경보가 정확해지면 불필요한 출동이 줄어들고, 출동 동선이 최적화되면 이동 거리가 짧아지기 때문이다. 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국내 물리보안 산업은 차원이 다른 변화가 요구되고 있다. SK텔레콤은 AI보안 솔루션 등 차세대 보안기술 개발을 선도해 나갈 계획이다.
SK텔레콤은 “New ICT기반 차세대 보안 서비스는 블루오션 시장이자 차세대 성장 동력”이라며 “‘ADT캡스’를 2021년까지 매출 1조원 이상의 회사로 키울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