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 계통 어려움, 분산형 전원으로 간다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8.05.08 17: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효율적인 계통 운용을 위해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를 통한 분산전원 구축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고, 관련해 신재생에너지 분산전원을 지능형 전력망에 손쉽게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 구현이 주된 관심사가 되고 있다.

중국, 올해 분산형 발전설비 10GW 목표

[인더스트리뉴스 박관희 기자] 에너지가 필요한 곳, 주거지 또는 인근에서 에너지를 생산하고 소비하는 이른바 분산전원 활용은 이미 세계적인 추세다. 산업통상자원부 백운규 장관 역시 지난 연말 2030년까지 “분산전원 확대를 위해 필요한 연료전지와 ESS, 전력중개시장을 육성하겠다”는 뜻을 밝힌 바 있다.

분산전원의 대표적인 효용은 전력예비력 확보이다. 일반적으로 전력예비력을 높이려면 원전 등의 대규모 발전소 건설이 대표적인 방법이지만 이에 따르는 비용과 시간을 줄이면서 피크부하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분산전원이 담당할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발전소를 건설을 위해서는 주민동의 인허가 등의 과정을 거쳐야 하고, 발전소 건설이 확정되더라도 보상절차가 진행되어야 해 경제적 손실이 발생할 여지가 높다. 하지만 분산전원의 경우 대규모 발전소 건설에 비해 비용 부담이 작고, 전력계통의 신뢰성을 높이는 등의 장점이 있다.

분산형 설비만 약 30GW 구축

지난 주 중국이 분산형 발전설비 10GW 구축을 공식화했다.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은 2018년 태양광부문의 발전 방향을 제시했고, 태양광발전의 양적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의 전환을

적극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방향은 확실하다. 발전원가 인하와 함께 현재 지원되고 있는 보조금에 대한 의존도를 축소하고, 발전규모에 대해서도 강화되고 엄격해진 제한, 태양광발전소 운영 효율 증대 등이다. 신재생을 통한 분산전원의 확대도 있다.

현재 중국에 설치된 태양광발전소 설비용량은 130GW 규모로 이중 발전소 100GW를 제외하면 분산형 설비가 29.7GW에 달한다. 이미 분산전원에 대한 투자가 이어져왔기 때문이다. 지난 2014년 중국 국가에너지국은 계통연계와 대출 등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분산형 태양광발전에 관한 지원 정책’을 발표했다.

분산형 전원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분산전원 10GW 목표를 밝혔다. [사진=안산시]
분산형 전원의 중요성이 점차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이 분산전원 10GW 목표를 밝혔다. [사진=안산시]

정책에는 분산형 태양광발전의 원활한 계통연계 진행을 위해 각 시와 현의 전력망 기업은 원스톱 계통연계 서비스 창구를 개설하고, 분산형 태양광발전 프로젝트 진행 시 자가발전 전력 사용 후 남은 전력을 전력망 기업에 판매하는 방법, 자가발전한 전력을 전부 전력망기업에 판매하는 방법 중 하나를 선택하게 했다.

또 35kW 이하의 전압 접속 또는 단일 프로젝트의 용량이 2만kW 미만일 경우, 모두 분산형 태양광발전 프로젝트로 분류해 현지의 태양광발전 표준 전력가격을 적용했다. 전력망 기업은 매달 분산형 태양광발전 프로젝트 추진기업과 전기세 결산, 국가 보조금 대신 지급작업을 해야하고, 금융기간 역시 분산형 태양광발전 프로젝트의 대출 서비스 플랫폼을 구축해 보다 다양한 대출 담보방식을 제공하는 등의 정책을 제시했다. 중국의 분산전원 정책은 이처럼 신재생 관련 정책과 밀접한 관계를 갖고 있다.

국내 분산전원, 정책적 배려 필요

이에 비해 국내 분산형 전원의 경우 과거 집단에너지에 곁들여 신재생이 거론되는 수준이다.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국내 분산전원의 비중을 2029년까지 총 발전량의 12.5%까지 높인다는 목표를 제시했고, 2차 에너지 기본계획에서는 분산형 전원의 보급을 6대 중점과제 중의 하나로 설정하고, 전체 발전량 중에서 분산형 전원이 차지하는 비중을 2035년 15%로 확대한다는 계획을 담았다.

에너지 기본계획에서는 자가발전 설치를 유도하고, 집단에너지를 확대하며,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통해 분산형 전원 비중 확대를 목표했다. 집단에너지 사업은 일반적으로 LNG를 연료로 사용해 열과 전기를 생산하고 판매하는 사업모형이다.

관련해 전력거래소 관계자는 “집단에너지 사업의 수익성은 정부의 규제에 의해 결정된다고 볼 수 있어, 집단에너지 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는지의 여부는 상당 부분 정부 정책에 달려 있다”고 평가했다. 분산형 전원 활성화의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지적한 것이다.

또 발전설비를 전력수요 지역 인근에 설치, 송전선로의 건설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분산형 전원은 결국 신재생 의무화와 같이 대규모 소비자가 밀집한 도시들을 대상으로 분산형 전원 확보 의무화와 지원 혜택제도가 병행될 때 확대가 가능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태양광 업체 관계자는 “계통연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현실임을 감안하면 신재생을 통한 분산형 전원 시장 확대가 솔루션이 될 것이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