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틱톡, 19일부터 美 서비스 종료… 대법원 가처분 신청 기각할 듯”
  • 한원석 기자
  • 승인 2025.01.16 19: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로이터 등 외신, 소식통 인용해 보도… CNBC “시장가치 58~73조원” 추정
미국 성조기와 중국 오성홍기를 배경으로 한 틱톡 로고. /사진=로이터 통신, 연합뉴스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미국인 1억7000만명이 사용하는 중국 동영상 플랫폼 ‘틱톡(TikTok)’이 미국 내 운영을 중단할 계획이라고 외신들이 일제히 보도했다.

로이터통신은 15일(현지시간) 소식통을 인용해 막판 유예조치가 이뤄지지 않을 경우, 연방정부의 금지법이 발효되는 19일부터 중단된다고 전했다.

앞서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해 4월 이른바 ‘틱톡 금지법’에 서명한 바 있다. 이 법안은 틱톡 모기업인 바이트댄스(ByteDance)가 이달 19일까지 미국 내 자산을 매각하지 않을 경우, 애플이나 구글 앱스토어에서 배포, 유지 관리 또는 업데이트 서비스를 금지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다만 이미 틱톡을 설치한 사용자들이 앱을 계속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 틱톡 측은 “이 법안은 정부가 언론의 자유를 축소시키는 것을 금지하는 미국 수정헌법 제1조를 위반한다”며 해당 법의 시행을 연기할 것을 요구했다. 틱톡이 지난해 12월 법원에 제출한 서류에서 금지 조치가 한 달 동안 지속될 경우, 미국 사용자의 3분의 1이 틱톡 플랫폼 접속을 중단할 것으로 추정한다고 밝혔다.

하지만 미국 연방대법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당선인과 의원들의 기한 연장 요구에도 불구하고 이 법을 지지하는 것처럼 보였다고 로이터 통신은 전했다.

백악관 관계자는 로이터 통신에 “바이든 대통령은 대법원이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임기 마지막 날에 금지를 막기 위해 개입할 계획이 없다”면서 “바이트댄스의 틱톡 매각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계획이 없는 한 법적으로 개입할 수 없다”고 말했다.

워싱턴포스트(WP)는 셧다운 조치가 시작된 지 하루 만인 오는 20일 대통령 임기를 시작하는 트럼프 당선인이 틱톡 중단 조치 시행을 60~90일 동안 유예하는 행정명령을 내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이와 관련해 트럼프 정권 인수팀은 즉각적인 논평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트럼프 당선인은 “취임 후 이 문제에 대한 ‘정치적 해결’을 추구할 시간을 가져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 국가안보보좌관을 맡게 될 마이크 왈츠는 “틱톡 자체는 환상적인 플랫폼”이라면서 “우리는 데이터를 보존하면서도 사람들의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것”이라고 폭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말했다.

한편 바이트댄스가 틱톡을 매각하면 시장 가치는 최대 500억달러에 이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미 CNBC 방송은 시장분석업체 CFRA 리서치의 안젤로 지노 수석 부사장을 인용해 틱톡의 미국 사용자 수와 매출을 경쟁 앱들과 비교해 틱톡의 가치를 400억달러(한화 약 58조원)~500억달러(약 73조원)으로 추정했다.

이러한 평가 금액은 조 바이든 대통령이 법안에 서명했을 당시 추산했던 600억달러보다는 하락한 수치다. 지노 부사장은 “평가 가치 하락은 틱톡의 지정학적 리스크와 다른 기업 가치 하락 등 산업 환경 변화에 기인했다”며 “틱톡의 알고리즘이 제외돼 추가적으로 낮아졌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