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신뢰회복위 설치해 신뢰 회복 위한 조치할 것”

[인더스트리뉴스 서영길 기자] 유영상 SK텔레콤 대표이사 사장이 최근 가입자 유심 해킹 사고로 인해 매출 손실을 포함, 3년간 7조원의 손실이 발생할 것으로 예측했다.
유 대표는 정부가 위약금 면제 등과 관련해 진행 중인 법률검토 결과 위약금 면제 판단이 나올 경우 이를 반영해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8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SKT 해킹 관련 청문회에 참석해 “해킹 사태 이후 약 25만 명 정도가 이탈했고, 곧 지금의 10배 이상인 250만 명이 이탈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1인당 해약 위약금을 평균 최소 10만원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유 대표는 이훈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물은 위약금 면제 여부에 대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유권 해석을 내린다면 그것을 참조해 (SKT)이사회와 신뢰회복위에서 상의해 결정하겠다. 다만 파장이 큰 부분이 있어서 결정에 어려움이 있다”며 이같이 답변했다.
답변 과정에서 유 대표가 대답을 망설이자 이훈기 의원은 “대규모 고객 이탈로 인해 회사의 존립 기반이 무너질 우려가 있다는 우려를 국회에 제기했는데, 소탐대실하지 말아야 한다”고 지적하자 유 대표는 “회사 손실도 있지만 이동통신 생태계에서의 고객 차별화 문제 등이 종합적으로 검토돼야 한다”고 설명했다.
유 대표는 이어 “이사회에서는 지금 단계에서는 결정을 하기 어렵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 대표의 언급처럼 만약 SKT 가입자 250만명이 실제로 이탈한다고 가정할 경우, 회사 측이 해약 위약금으로 지출해야 하는 금액은 최소 2500억원이 될 전망이다.
아울러 과기정통부가 4개 법무법인에 SKT 위약금 면제 검토 등에 대한 법률 검토를 맡겼고, 이에 대한 회신을 지난 7일 받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박정훈 국민의힘 의원은 “어떤 상황이 되면 위약금 면제를 결정할 것이냐”며 “과기정통부 법률검토에서 결정이 나면 할거냐”고 물었고 유 대표는 “(법무법인 검토 결과) 위약금 면제라고 명확히 결과가 나오면 우리도 고려해 시행하겠다”고 답했다.
박 의원은 “SKT의 전체 가입자는 2500만명으로 전체 이동통신 시장의 40%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데, 위약금을 면제하면 점유율이 무너질 것을 우려해 (위약금 면제에) 소극적인 것이냐”고 비판했다.
그러자 유 대표는 “최대 500만명까지 (이탈)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며 “위약금 면제시 3년치 매출 등까지 고려해야 하는데, 이 경우 7조원 이상의 손실이 예상된다”고 언급했다.
아울러 유 대표는 ‘고객신뢰회복위원회’를 조속히 설치해 무너진 신뢰 회복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유 대표는 “고객신뢰회복위원회를 통해 SKT의 신뢰가 상실된 많은 부분에 대해 조사하고 고객 목소리를 듣겠다”며 “위약금 문제를 포함해 전체적인 고객 신뢰 회복을 다루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