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령어 입력하면 AI가 개발 작업 수행하는 '코딩 에이전트' 기능 탑재
"개발 인력 축소 계획은 없어…AIDD는 개발자 생산성 높이는 도구"

[인더스트리뉴스 김기찬 기자] 인공지능(AI) 전환(AX) 전문 기업 LG CNS가 시스템 개발 전 과정에 AI를 도입하기로 했다.
LG CNS는 AI 코딩 플랫폼 '데브온 AI 드리븐 디벨롭먼트'(DevON AIDD)을 시스템 개발 전 과정에 적용해 생산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라고 28일 밝혔다.
AIDD는 생성형 AI 기술을 통해 시스템 개발 과정을 최적화하는 시스템으로 알려졌다. 기존에는 코딩 단계에서만 AI가 적극 활용됐던 반면 AIDD의 도입으로 분석·설계·코딩·테스트·품질진단에 이르는 시스템 개발 전 과정에서 개발자들의 업무를 혁신하는 등 방식으로 업그레이드된 셈이다. 'AI 프로그래머'를 회사에 들인 것과 마찬가지다.
구체적으로 시스템 분석 단계에서 AI 코딩 플랫폼이 시스템을 구성하는 수십·수백만줄의 복잡한 소스코드를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자연어로 요약해준다. 이에 시스템 구조를 빠르게 파악하고 분석하는 시간을 대폭 줄일 수 있게 됐다.
분석 과정을 거쳐 생성된 코드를 테스트하는 과정에서도 효율성을 높였다. 개발자가 일일이 만들어야 했던 수백여게 테스트 케이스를 AI가 자동으로 생성하고, 상황별 가상 데이터를 활용해 오류 여부를 정밀하게 검증한다.
이후 품질 진단 단계에서도 개발이 완료된 코드가 고객의 요청사항을 반영할 수 있도록 비교하고 누락된 항목을 찾아내는 일을 AI가 수행해 효율성을 높였다.
'코딩 에이전트' 기능은 테스트와 검증 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코딩 에이전트가 자동으로 소스코드를 수정하고 이를 반복적으로 수행함으로써 고품질의 코딩 결과물을 얻을 수 있는 점이 강점이다.
이같은 AI 코딩 플랫폼의 수행 능력은 소규모 프로젝트는 물론 대형 시스템에서도 폭넓게 활용된다. LG CNS는 제조·금융 등 다양한 산업군의 AX 프로젝트에 이를 적극 활용하며 IT서비스 이행체계를 혁신하고, 고객사 시스템의 품질도 획기적으로 향상시킨다는 계획이다.
또한 개발자가 명령어만 입력하면 AI가 분석·설계·코딩·테스트·품질진단 전 단계에서 자율적으로 작업을 계획, 수행하는 ‘에이전틱 AI’로 AI 코딩 플랫폼을 지속 고도화해나갈 예정이다.
안현정 LG CNS 어플리케이션아키텍처담당 상무는 "AI 코딩 플랫폼 ‘DevOn AIDD’를 통해 고객 시스템의 개발 생산성을 혁신하고, 차별적 고객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IT업계에서 개발 인력을 AI로 대체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는 만큼 개발 인력의 고용 불안도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LG CNS측은 이번 AIDD 시스템 도입이 개발 인력 축소와 이이지지는 않는다고 단언했다.
LG CNS 관계자는 "AIDD 시스템이 개발자들의 대부분의 업무에서 AI가 활용되는 것도 맞고, AI가 생성해낸 결과도 신뢰할 수 있지만 개발 인력들이 AI가 생성해낸 값에 대해서도 한 번 더 체크하는 과정이 필요하다"며 "어쨌든 사람의 손을 거쳐야하는 작업인 만큼 AIDD는 개발자들의 생산성을 높여줄 뿐, 개발 인력을 줄이려는 계획은 없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