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국면 맞는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로컬콘텐츠 도입 방안 모색
  • 최정훈 기자
  • 승인 2021.07.10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수부, 제1차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발전협의회 개최

[인더스트리뉴스 최정훈 기자] 해양수산부(장관 문성혁, 이하 해수부)는 7월 8일 거제에 있는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해양플랜트산업지원센터에서 ‘2021년 제1차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발전협의회’(이하 ‘발전협의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해양플랜트 전(全) 단계 중 건조 이후의 운송, 설치, 운영 및 유지관리, 해체 등과 관련된 서비스 산업은 해양플랜트 전체 부가가치의 50% 이상이 창출되는 분야로 알려졌다. 

협의회가 개최된 가운데 로컬컨텐츠 도입 방안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사진=해양수산부]
 7월 8일 협의회가 개최된 가운데 로컬컨텐츠 도입 방안에 대한 발표가 진행됐다. [사진=해양수산부]

이번 발전협의회는 ‘신재생에너지 해양플랜트 확산에 따른 산업계 지원방안’을 주제로 진행됐다. 

최근 세계적인 탈탄소 움직임에 따라 해양플랜트 시장도 해상풍력, 수소생산 등 신재생에너지로 기울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이번 협의회에서는 신재생에너지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의 국내 시장 활성화와 해외 진출 지원을 위해 어떠한 정책이 수반돼야할 지 국내외 사례를 토대로 논의가 진행됐다.

해상풍력설치선 [사진=utoimage]
해상풍력설치선 [사진=utoimage]

특히, 해양플랜트의 새로운 축으로 부상하는 해상풍력 서비스산업 현황과 방향을 짚어보기 위해 서남해권 해양플랜트 운영 유지보수 현황이 조명됐다. 해상풍력 해양플랜트의 경우 일반적으로 공기가 1~2일 정도이다 보니 수개월에서 몇십년 한 곳에서 머물던 기존의 석유 가스 해양플랜트의 서비스 산업과는 다른 컨셉이 요구된다. 또한, 드릴 기술이 핵심이던 석유 가스 해양플랜트와 달리 블레이드, 터빈 등 무거운 리프트 작업 위주라는 점도 고려해야 할 사항이다. 

또한, 이번 행사에서는 브라질 자국기업 지원 정책 사례 분석을 통해 ‘한국형 로컬컨텐츠 제도’ 도입 방안에 대한 발표도 진행됐다. 해양플랜트 서비스산업 후발주자인 우리나라 기업들이 더욱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구상이다. 

아울러, 대기업·중소기업·조선기자재조합 대표와 해외기업 지사장, 학계 등 각계 인사 20여 명을 초청해 국내기업과 해외기업 간의 상생방안,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의 상생방안도 논의됐다. 

김창균 해양수산부 해양정책관은 “이번 발전협의회에서 제시된 방안들은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실질적으로 산업계에 도움이 되는 지원정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겠다”라고 말했다.

해양수산부는 그동안 발전협의회를 통해 해외 수주 지원사업, 장비·소프트웨어 공동활용 사업 등을 발굴해 연간 약 50개 기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약 340억원의 수주·납품 지원 실적을 달성한 바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