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환 의원, “산업부 e-fuel 정책은 탄소중립에 역행, 중단해야”
  • 최종윤 기자
  • 승인 2021.10.05 10: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외 녹색분류체계에 e-fuel 포함된 사례 없어

[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국회 산업자원통상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성환 의원(서울 노원병, 더불어민주당)은 10월 5일 국회에서 열린 2021년 산업통상자원부 국정감사에서, 미래차 전환에 앞장서야 할 산업부가 정유업계에 휘둘려 내연기관차를 포기하지 못하고 있다며 e-fuel 정책의 폐기를 촉구했다.

더불어민주당 김성환 의원이 산업부의 e-fuel 정책의 폐기를 주장했다. [사진=김성환 의원실]

e-fuel은 재생에너지로 만든 수소와 포집된 CO2를 합성한 신개념 연료다. e-메탄올·가솔린·디젤·암모니아 등 다양한 종류의 연료를 지칭하며 기존 내연기관차에 주입이 가능하다. e-fuel은 이론상으로는 가능하지만 상용화가 요원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있다. 산업부는 올해 4월 산업계·학계·연구계와 함께 e-fuel 연구회를 발족하고 기술확보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김성환 의원은 “e-fuel 연구회 구성원을 들여다보면 SK에너지, 현대오일뱅크, GS칼텍스, S-OIL 등 산업계 대부분이 정유업계”라며, “이들 정유업계는 전기·수소차 전환시 직접 영향을 받는 당사자로서 내연기관차 산업을 연장하기 위한 성격이 짙어보인다”고 말했다.

김 의원은 이어 “연구회 회의를 살펴본 결과 산업부도 이에 휘둘려 마치 e-fuel이 내연기관차 쇠락의 길을 구해줄 방안인 것처럼 주장하고 있으며, 상용화가 어렵다는 것을 인정하면서도 기술 확보를 위한 예산도 약 900억원을 쏟아 부을 계획”이라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e-fuel은 자동차 부문의 탄소중립 방안이 될 수 없다”며 “국내·외 여러 연구결과가 이를 뒷받침 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재생에너지 전력을 e-fuel 연료로 변환하여 차량을 운행할 경우 에너지효율은 약 13%에 불과하다”며, “전기차 운행 시 에너지효율은 약 73%로 현저한 차이가 난다”고 강조했다.

또한 김 의원은 “100km 주행 시 전력 소모량을 비교하면 전기차는 15KWh인 반면 e-fuel은 103KWh나 소모돼 e-fuel이 전기차 대비 약 7배 가량 에너지를 다소비 하는 구조”라며, “e-fuel 차량을 10년간 운용할 경우 같은 기간 전기차 보다 12,000달러(약 43%)의 비용이 더 소요될 전망이므로 경제성도 거의 없는 수준”이라고 덧붙였다.

김 의원은 “해외 녹색분류체계에도 e-fuel이 포함된 사례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산업부는 업계에 등 떠밀려 국내 녹색분류체계에 e-fuel을 탄소중립 연료로 담기 위해 안간힘을 쓰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설령 산업부의 주장대로 e-fuel이 탄소중립에 기여한다고 해도, CO2 포집 기술이 핵심이지만 국내 DAC 기술은 연구초기 단계이며 국내 실증연구는 단 한건에 불과해 앙꼬없는 찐빵”이라고 따졌다.

덧붙여 김 의원은 “e-fuel이 이러한 뜬구름 잡는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기존 정부가 발표한 2050년 탄소중립 시나리오 도로부문 1안과 2안에 버젓이 명시돼 있다”며, “e-fuel을 비롯한 탄소중립 연료 보급 비중은 무려 24%에 달해 산업부가 연료전환에 대한 진정성이 있는 것인지 강한 의구심이 든다”고 비판했다.

마지막으로 김 의원은 “EU, 영국 등 해외 주요국가는 탄소중립의 일환으로 내연기관차의 판매중단 계획을 발표하고 전기·수소차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고 있다”면서, “미래차 전환의 걸림돌인 e-fuel 정책을 당장 중단해야 한다”고 질타했다.

이어 “화석연료 기반의 문명에서 조속히 벗어나 재생에너지 체제로의 전환에 온 힘을 쏟아야 하며, 그 과정에서 소외받거나 차별받는 이들이 없도록 제도를 설계하고 지원방안을 충분히 마련해야 한다”고 산업부의 적극적인 에너지전환을 주문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