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 핵심기술 3D 프린팅②] 정부 지원 본격화!
  • 박규찬 기자
  • 승인 2017.08.25 13:5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부), 기재부, 산업부, 고용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지난 4월 ‘2017년도 3D 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신규 수요창출, 기술경쟁력 강화, 산업확산 및 제도적 기반 강화 등에 총 41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국내 의료분야 3D 프린팅 활용 활발

[Industry News 박규찬 기자] 정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구 미래부), 기재부, 산업부, 고용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지난 4월 ‘2017년도 3D 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신규 수요창출, 기술경쟁력 강화, 산업확산 및 제도적 기반 강화 등에 총 41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정부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017년도 3D 프린팅 산업 진흥 시행계획’을 확정하고 총 412억원의 예산을 투입하기로 했다고 발표했다. [사진=Dreamstime]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3D 프린팅은 기존 산업의 패러다임을 변화시켜 제조업 혁신과 신시장을 창출할 지능정보사회의 핵심기술”이라며,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트렌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부처간 협력이 매우 필요하다”고 말했다.

지난 7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3D 프린팅으로 단종·조달애로 제품 해결을 위한 2017년 3D 프린팅 기술활용 제품 시범제작 지원사업을 공모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국방, 소방 등 공공분야, 보조기, 보철물 등 의료분야, 전기, 전자, 자동차 등 산업분야에 대해 수요를 발굴하고 국내 3D 프린팅 기업·기관을 대상으로 맞춤형 제품을 시범 제작해 현장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지난 2016년에 이어 올해 두 번째로 진행되는 이 사업은 지원 대상 분야를 2개에서 3개로, 규모는 3억4,000만원에서 8억6,000만원으로 확대함으로서 다양한 특화산업 분야에서 시장창출이 간으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처럼 정부는 지난해부터 국내 3D 프린팅산업의 저변확대와 중소 제조 기업이 접근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주요 선진국들의 3D 프린터 활용 분야를 보면 주로 자동차, 항공·우주, 방위 분야를 위주로 활성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직 초기 단계로 시장이 크지 않아 일부 산업 분야에서 점차 확산돼가고 있는 추세다. 

최근 국내 3D 프린팅은 의학 분야에서 움직임이 활발하다. [사진=Industry News]

최근에는 의학 분야에서의 움직임이 활발하다. 지난 8월에는 국내 연구진이 세계 최초로 3D 프린팅 기술로 제작된 치과용 멤브레인 개발을 성공시켜 곧 제품이 출시된다. 이 멤브레인은 치과 임상에 적용한 세계 최초의 제품으로 골이식 환자별 맞춤형 치료가 가능하다.

멤브레인은 염증이나 외상, 임플란트 시술 등 골이식이 필요한 치과질환에서 잇몸이 골형성이 돼야 할 부분으로 자라 들어오지 못하도록 공간을 확보하는 기능을 담당하는 막이다. 이번 연구는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첨단의료기술개발사업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이어 삼성서울병원 백정환 이비인후과 교수팀이 3D 프린팅을 이용한 구강암 환자의 턱뼈 재건 수술 모델 및 골절제 가이던스를 개발했다. 

백정환 교수는 “해당 모델을 이용하면 의사들이 이론으로만 배우던 수술법을 손으로 실제 익힐 수 있는 기회를 만들 수 있어 결국 환자들에게 이득”이라며, “앞으로 더욱더 다양한 3D 프린팅 수술 모델 개발에 박차를 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