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 투명 태양광발전 시스템을 통해 건물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됐다. 기상에 따라 발전 효율이 달라지는 태양광 모듈의 단점을 보완할 대안으로 주목된다.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KEIT, 원장 전윤종)은 인천대학교 전기공학과 김준동 교수 연구팀이 ‘스마트 투명 태양광 플랫폼을 적용한 도심형 에너지 제어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5일 밝혔다.
도심의 경우 밀집된 건물로 인해 에너지 사용밀도가 높다. 유리창호 등을 활용한 에너지 창출과 더불어 효율적인 이용 방안이 요구된다.

인천대학교 전기공학과 김준동 교수는 ‘투명 태양전지’와 ‘투명 히터’를 통해 발전 및 에너지 사용의 효율을 높였다.
투명 태양전지는 투명한 산화물과 실리콘 박막으로 제작했다. 투명 히터는 산화물, 나노선을 태양전지와 접합한 하이브리드 형태로 만들었다.
김준동 교수는 “건물 창호로 사용할 수 있을 만큼 높은 투과도를 가지면서도 효율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하는 기술과 온도 조절 기능을 동반한다”고 설명했다.

또 “투명 히터 기술을 기존 태양전지 모듈에 적용하게 되면 눈 덮인 태양광 모듈의 ‘발전 불능’ 등 날씨에 따른 영향을 줄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이 지원하는 ‘지식서비스산업 기술개발사업 사업’의 일환으로 이뤄졌으며 앞서 국내 특허 출원(1건)을 마쳤다.
연구 결과는 국제 응용기술 학술지인 Advanced Science에 ‘Field-Induced Transparent Electrode-Integrated Transparent Solar Cells and Heater for Active Energy Windows: Broadband Energy Harvester’란 제목으로 게재됐다.
학술지 Small에는 ‘All-Oxide Transparent Photodetector Array for Ultrafast Response through Self-Powered Excitonic Photovoltage’라고 실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