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조창현 기자] 최근 현장에서는 엔지니어가 코드를 원활하게 생성 및 완성할 수 있도록 돕는 AI 코드 어시스턴트(Code Assistants)가 활용되고 있다. 지난해 초를 기준으로 AI코드어시스턴트 사용자는 10% 미만이었지만, 오는 2028년에는 75%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가트너(Gartner)는 연 매출 규모 10억 달러 이상인 기업에 근무하는 응답자 598명을 대상으로 지난해 3분기에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전체 기업 중 63%가 이미 AI코드어시스턴트를 시범 도입하거나 배포 중, 배포를 완료했다고 15일 밝혔다.
가트너에 따르면 AI코드어시스턴트는 브레인스토밍과 코드 품질 향상을 통해 개발 효율성을 높여 프로그래밍 프레임워크 전반에서 숙련도를 높이고 역량을 강화한다. 또 업무를 지원하는 협업 어시스턴트 역할도 겸하면서 직무 만족도 및 유지율을 높이고 회사 내 직원 이탈을 방지한다.
다만 관련 기술을 활용하려는 기업에서는 ROI 목표를 비용 절감이 아닌 가치 창출을 지표로 재설정해야 될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가치 스토리 설정을 위해서다. 가트너는 기존 ROI 프레임워크에서는 AI코드어시스턴트에 대한 가치 스토리를 확보할 수 없다고 전했다.
가트너 필가립 월쉬(Philip Walsh) 시니어수석애널리스트는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리더는 AI 코드 어시스턴트 확장에 따른 ROI를 결정하고 비즈니스 사례를 구축해야 한다”며, “기존 ROI 프레임워크는 비용 절감에 중점을 둔 지표로 유도하지만, 비용 절감 관점으로는 AI 코드 어시스턴트에 대한 가치를 충분히 모색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이어 필가립 월쉬 수석애널리스트는 “보다 강력한 가치 스토리를 구축하기 위해서는 코드 생성에 소요되는 시간을 얼마나 줄였는지부터 파악해야 한다”며, “소프트웨어 엔지니어링 리더는 가치 활성화 요소와 결과물간 상관관계를 파악한 이후 기업 내 전반적인 수익을 분석해 AI코드어시스턴트에 대한 전체 기업 가치 스토리를 전달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