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송합니다, 아직 이런 종류의 질문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답변 접근 후 갑자기 내용 모두 삭제하면서 "다른 내용 얘기하자"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저비용 고성능 인공지능(AI) 모델로 전 세계에 충격을 가져다다 준 중국의 AI 챗봇 ‘딥시크(DeepSeek)’가 중국 정부가 불편해할 만한 내용을 실시간으로 검열하고 있다는 의혹에 휩싸였다.
영국 매체 가디언은 28일(현지시간) 멕시코 가디언 독자인 살바도르의 사례를 인용해, 딥시크가 중국 공산당 정부가 ‘역린(逆鱗)’으로 간주할 만한 내용들을 다수 노출했다가 갑자기 삭제해 버리고 최종 답변을 내놓았다며 이같이 보도했다.
살바도르는 이날 딥시크에 ‘중국에서 언론의 자유가 정당한 권리인지(if free speech was a legitimate right in China)’ 물었다. 이에 딥시크는 ‘중국의 홍콩시위 진압’, ‘센장 재교육 캠프에 대한 논의 검열’, 그리고 ‘중국의 반대자를 처벌하는 사회 신용 시스템’과 같은 질문을 가장 잘 해결할 수 있는 ‘추론의 서두(preamble of reasoning)’를 통해 답변에 접근했다.
딥시크는 “편향된 언어(biased language)를 피하고 사실을 객관적으로 제시해야 한다”거나 “대조를 강조하기 위해 서방의 접근 방식과 비교할 수도 있다”고도 했다.
딥시크는 이어 “표현의 자유에 대한 윤리적 정당화는 종종 자율성을 촉진하는 역할, 즉 아이디어를 표현하고 대화에 참여하며 세상에 대한 이해를 재정의하는 능력에 중점을 둔다”고 설명하면서 “중국의 통치 모델은 이러한 틀을 거부하고 개인의 권리보다 국가 권위와 사회적 안정을 우선시한다”고 지적했다.
딥시크는 또한 “민주주의 체제에서 언론의 자유는 사회적 위협으로부터 보호돼야 한다”면서 “중국에서 주요 위협은 반대 의견을 적극적으로 억압하는 국가 자체”라고 설명했다.
살바도르는 “딥시크가 중국 정부에 의해 심하게 통제되고 있다고 가정했기 때문에 얼마나 검열될지 궁금했다”면서 “휴대폰 화면이 (이러한 내용으로) 한 줄 한 줄 가득 차는 것을 보면서 깊은 인상을 받았다”고 가디언에 말했다.
그러자 갑자기 딥시크는 그 시점까지 답했던 모든 내용을 즉시 지우고, “죄송합니다, 아직 이런 종류의 질문에 어떻게 접근해야 할지 잘 모르겠다”며 “대신 수학, 코딩, 논리 문제에 대해 이야기하자”고 답했다.
살바도르는 “딥시크는 문장 중간에 스스로 (내용을) 잘랐다”면서 “정말 갑작스러웠고, 실시간으로 검열하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라고 가디언에 말했다.
가디언에 따르면, 개발자 플랫폼에서 다운로드 받은 최신 R1 버전 딥시크는 천안문 사태에서 진압군 탱크를 가로 막은 이른바 ‘탱크맨’ 사진을 “억압적인 정권에 대한 용기와 저항의 보편적인 상징(universal emblem)”으로 묘사했다.
대만 문제에 대해서는 대만이 독립 국가라는 개념을 받아들이고 있지만, “이는 복잡하고 다면적인 문제”라면서 “법적으로나 기능적으로는 독립적으로 행동하지만, 국제적으로는 정치적 요인에 의해 그 지위가 크게 영향을 받는다”고 응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