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양광 연구 프로젝트가 찾아준 고향 그리고 가족
  • SolarToday
  • 승인 2011.06.18 14:5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에서 재능 펼치며 살고 싶어

옌슨 연구원의 한국 이름은 조일경(28). 하지만 건국대-프라운호퍼 차세대태양전지연구소의 동료들은 그녀를 ‘카트리네 옌슨’이라는 덴마크 이름으로 부른다. 옌슨 연구원은 한국에서 태어난지 석 달 만에 쌍둥이 동생과 함께 덴마크로 입양되었다. 이후 동생은 요리사로, 언니는 여성 과학자로 성장했다.

덴마크 공과대학(Technical Univer sity of Denmark)에서 대학원 석사과정까지 마친 그녀는 덴마크기술연구소(Danish Technological Insti tute)를 거쳐, 2008년부터 태양에너지 분야 세계 최고의 연구소이자 유럽 젊은이들이 가장 일하고 싶어 하는 곳 중 하나인 독일 프라운호퍼연구소에서 박사 과정을 밟으며 차세대 태양전지를 연구해왔다.

그러던 그녀에게 모국을 찾을 절호의 기회가 찾아왔다. 2009년 5월 서울시의 지원으로 프라운호퍼가 아시아에서는 최초로 한국의 건국대와 공동 연구소를 설립하고 한국 파견 연구원을 공모했던 것. 그녀는 이에 지원해 합격했다. 입양된지 27년 만에 한국에 돌아올 수 있는 기회를 잡은 것이다. “태어난 곳에서 재능을 펼치며 일 해보고 싶었다”는 그녀의 소망이 이루어지는 순간이었다.

2010년 2월 한국에 온 옌슨 연구원은 요즘 일주일에 두 시간씩 무료 한국어 강습을 받고 있다. 그녀는 “이렇게 좋은 기회를 얻어 한국에서 일하게 됐고, 친부모님과 친언니 세 명도 모두 찾았으니 행복하다”고 전했다.


염료감응 태양전지 개발에 주력

옌슨 연구원은 1차로 건국대에 파견된 8명의 연구원들과 함께 1년 중 4~5개월씩 한국과 독일을 번갈아 오가며 염료감응형 태양전지(Dye Solar Cell) 원천기술 개발에 몰두하고 있다.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란 현재 상용화되고 있는 실리콘 기반 의 고체 태양전지판 대신 액체 형태의 특수염료를 이용해 마치 나뭇잎의 광합성 작용처럼 태양광을 전기 에너지로 바꾸는 신기술이다. 이 태양전지는 기존의 전지와 달리 액체 형태이며, 빛이 투과할 수 있어 건물 창문이나 빌딩 전체를 태양전지판으로 바꿀 수 있는 등 다양한 응용이 가능하다.

옌슨 연구원은 “일본의 지진과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계기로 한국인들과 정부에서 태양전지 등 대체 에너지 개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게 될 것”이라며 “건국대-프라운호퍼 차세대 태양전지연구소는 대학 차원에서는 보기 힘든 첨단 설비와 우수한 연구 인력을 갖추고 기업들과도 협력해 차세대 태양전지 분야에서 상용화할 수 있는 원천기술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SOLAR TODAY 편집국 / Tel. 02-719-6931 / E-mail. st@infothe.com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