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앞으로 2주 안에(in the next two weeks)” 해외에서 생산된 의약품에 대해 추가 관세 부과 방침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5일(현지시간) 의약품의 미국 내 제조를 장려하기 위해 미국 내 제약 공장을 승인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단축하도록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자리에서 이같이 밝혔다.
그는 “다른 나라와 비교해 우리는 매우 불공정하게 갈취당하고 있다(we’re being ripped off)”면서 “의약품 가격과 관련해 다음 주에 큰 발표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지난달 의약품과 반도체의 해외 생산에 대한 과도한 의존이 국가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두 부문에 관세를 부과하기 위해 이들 품목에 대한 조사에 착수했다고 로이터는 전했다.
이날 서명한 행정명령에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검토를 간소화하고 국내 제조업체와 협력해 시설이 가동되기 전에 조기 지원을 제공토록 하는 내용이 담겼다.
FDA 등 규제 기관의 해외 생산업체의 활성 성분(active-ingredient) 출처 보고에 대한 집행을 개선하고,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시설 목록을 공개적으로 게시하는 것을 고려토록(consider) 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이 명령에는 환경 보호국(EPA)에 시설 건설을 가속화 하도록 지시하는 내용도 담겨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우리는 미래에 투자함으로써 의료 공급망을 영구적으로 귀국시킬 것”이라며 “우리는 바로 이곳 미국에서 의료용품, 의약품, 치료제를 생산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마티 마카리 FDA 국장은 이 자리에서 “FDA가 해외 공장에 대한 불시 검사를 시작할 계획”이라며 “이 조치는 감독을 미국(기준)과 더 일치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위험한 ‘기능획득(gain-of-function)’ 연구에 미국 정부의 자금 지원을 중단하는 행정명령에도 서명했다.
이 명령은 (미 당국의) 감독이 불충분한 것으로 간주되는 해외에서 진행되는 기능획득 연구 중 미국 공중 보건에 위협이 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민간 생물학 연구를 식별하고 종료토록 하는 내용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이 조치가 있었다면) 우리가 겪었던 문제가 없었을 수도 있었다”고 취재진에게 언급하기도 했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는 이러한(기능획득 연구에 대한) 노력이 코로나19 팬데믹 발발의 원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면서 “코로나19 팬데믹의 기원은 여전히 불분명하지만, 일부 미국 정보기관은 코로나19가 (중국) 우한 바이러스학 연구소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을 내렸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