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복현 금감원장, "은행들 가계대출 금리 인상에 금융당국 개입 강화할 것"
  • 이주엽 기자
  • 승인 2024.08.26 10: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복현, "은행들 가계부채 관리 미리 안 하고 손쉽게 금리 인상"
이 원장, "네이버·토스 등 빅테크 감독체계 정비 논의할 시기 돼"

[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가계대출 급증과 관련, 은행들의 대출 관리 방식을 비판하며 금융 당국의 개입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했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25일 최근 가계대출 급증과 관련해 금융 당국의 개입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가계대출 급증과 관련해 금융 당국의 개입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밝히고 있다. / 사진=연합뉴스

 

이복현 금감원장은 25일 KBS 일요진단 방송에 출연, "금리 인상이 은행에는 수익을 늘리는 한편 대출 수요를 억제하는 방법이 될 수 있지만, 감독 당국 입장에서는 은행들이 보다 체계적으로 가계대출을 관리하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이어 "은행들이 대출 관리에 있어 선제적인 포트폴리오 조정 대신 금리 인상과 같은 쉬운 방법을 선택해 소비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다주택자 대출 및 갭투자 관리 강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자율적인 대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부동산 시장 특히 수도권 집값에 대한 개입 필요성을 강조하며, "현재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9월 이후에도 대출 증가세가 이어진다면 더 강력한 대책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카카오페이의 고객 신용정보 중국 알리페이 전송 의혹과 관련해서는 "법적 문제를 넘어 적정성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면서 "네이버와 토스 등 빅테크 기업들의 감독 체계도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티몬·위메프의 미정산 사태에 대해 "피해 규모가 1조3000억 여원에 달하며 남은 환불 문제는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처리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관련. "금융사가 제출한 사업성 평가 결과를 관리 중"이라며 "일부 PF 사업장이 올해 9~10월 중 경매나 NPL(부실채권)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다" 경고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