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원장, "네이버·토스 등 빅테크 감독체계 정비 논의할 시기 돼"
[인더스트리뉴스 이주엽 기자]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최근 가계대출 급증과 관련, 은행들의 대출 관리 방식을 비판하며 금융 당국의 개입 가능성을 강력히 시사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25일 KBS 일요진단 방송에 출연, "금리 인상이 은행에는 수익을 늘리는 한편 대출 수요를 억제하는 방법이 될 수 있지만, 감독 당국 입장에서는 은행들이 보다 체계적으로 가계대출을 관리하기를 바란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 원장은 이어 "은행들이 대출 관리에 있어 선제적인 포트폴리오 조정 대신 금리 인상과 같은 쉬운 방법을 선택해 소비자들의 부담을 가중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는 특히 다주택자 대출 및 갭투자 관리 강화와 같은 방법을 통해 자율적인 대출 관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 원장은 부동산 시장 특히 수도권 집값에 대한 개입 필요성을 강조하며, "현재의 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DSR) 규제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그는 9월 이후에도 대출 증가세가 이어진다면 더 강력한 대책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이 원장은 카카오페이의 고객 신용정보 중국 알리페이 전송 의혹과 관련해서는 "법적 문제를 넘어 적정성을 따져볼 필요가 있다"면서 "네이버와 토스 등 빅테크 기업들의 감독 체계도 논의가 필요하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그는 티몬·위메프의 미정산 사태에 대해 "피해 규모가 1조3000억 여원에 달하며 남은 환불 문제는 공정거래위원회를 중심으로 처리 중"이라고 설명했다.
이 원장은 특히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과 관련. "금융사가 제출한 사업성 평가 결과를 관리 중"이라며 "일부 PF 사업장이 올해 9~10월 중 경매나 NPL(부실채권)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다" 경고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