밖으로는 '첨단산업', 안으로는 '과학행정'
[Industry News 전시현 기자] 올해 창원시가 밖으로는 첨단산업, 안으로는 과학행정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창원시는 '2017 국민생활밀접 민원제도 개선 대통령상', '2017 제37회 한국에너지효율대상 대통령 표창', '2017 대한민국 SNS 대상 공공부문 종합대상', '2017 공공 빅데이터 우수사례 경진대회 장려상' 등 굵직굵직한 정부 포상이 끊이지 않고 있다.
더욱 눈길을 끄는 것은 이들 상이 모두 '스마트·첨단 행정'의 산물이라는 점이다.
창원시는 안상수 시장의 취임과 함께 일찌감치 창원 미래 먹거리의 2대 전략산업의 한 축을 '첨단산업'으로 설정하고, 창원국가산단·마산자유무역지역 고도화, 구 육대부지 연구자유지역 조성, LG 전자 R&D센터 준공, 수소연료전지산업 선도 기반 구축, 한독(韓獨) 소재연구센터 설립 등 미래산업도시로서의 외적인 면모를 착실히 다져왔다.
이렇게 안으로도 첨단행정·과학행정을 도입함으로써 명실상부한 '스마트 도시'로서의 입지를 굳히고 있다.
![성산구 가음정동 LG전자 창원1공장에 지상 20층, 지하 2층 규모로 건립된 R&D센터 [사진=창원시]](/news/photo/201711/20241_9850_514.png)
2015년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을 최초 도입해 축제·관광, 전통시장, 버스노선, CCTV 등 4개 분야에 대한 과학적 분석을 시작해, 2016년에는 창업 입지, 불법 주정차, 인구, 민원, 통계주제도 등의 5개 분야로 적용 영역을 확대했으며, 2017년은 기존 시스템의 기능 강화와 함께 복지 사각지대, 감염병 분석 등으로 분석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그 결과, 현재까지 총 45건의 빅데이터 분석이 각 부서로부터 의뢰되어 39건이 분석을 마쳤고, 6건이 분석 중으로서 진해군항제·마산가고파국화축제 관람객 분석,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권 분석, 공동주택 관리 부정비리 분석, 도시재생 대상지 유동인구·매출액 분석, 어린이 교통사고 예방을 위한 시설 입지분석 등 2015년 도입 이후 창원시 정책 전 분야의 입안·실행·결과 분석의 모든 과정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관련해 창원시가 올 1월 빅데이터 전담조직을 신설하고 빅데이터 분석 전문가 2명을 채용하는 한편, 지난 9월 전국 기초자치단체 최초로 '빅데이터 활용 조례'를 제정함으로써 2018년 2단계(시정 전반의 빅데이터 분석 기반 정책 수립), 2019년 3단계(스마트 행정체계 완성, 민간·학계·기업에까지 빅데이터 서비스 실시)사업이 더욱 속도를 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2017 국민생활밀접 민원제도 개선 대통령상(대상)'을 수상한 창원시의 '민원사전예보제'는 전국 최초로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과학적으로 민원을 해결해 온 성과를 높이 인정받은 것으로 평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