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전지 수명 극대화 기술 개발됐다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7.12.26 18:0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태양광, 풍력에 비해 많은 조명을 받고 있지 않지만 연료전지는 친환경에너지 기술이자, 신재생에너지원으로 주목받고 있는 에너지 변환기술이다.

고내구성 페로브스카이트 전극 개발에 활용 전망

[Industry News 박관희 기자] 연료전지에 주로 활용되는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산화물에 소량의 금속 입자를 추가해 전극의 성능 저하를 막는 기술이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들이 작동 초기 성능이 뛰어나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성능이 저하돼 장기간 사용이 어렵다는 한계를 극복한 연구성과로 평가된다.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산화물 연구성과가 에너지&인바이러멘탈 사이언스 2018년 1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사진=KAIST]
페로브스카이트 구조 산화물 연구성과가 에너지&인바이러멘탈 사이언스 2018년 1호 표지논문으로 선정됐다. [사진=KAIST]

연구는 에너지, 환경 분야 국제 학술지 ‘에너지&인바이러멘탈 사이언스(Energy&Environmental Science)’ 2018년도 1호 표지논문에 선정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신소재공학과 정우철 교수 연구팀이 서울시립대학교 한정우 교수와의 공동 연구를 통해 소량의 금속으로 연료전지의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새로운 전극소재 기술을 개발했다.

일반적으로 세라믹 소재로 구성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는 수소 이외에도 바이오매스, LNG, LPG 등 다양한 종류의 연료를 직접 전기에너지로 바꿀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발전소와 전기자동차, 가정용 예비전원 등 분야에 폭넓게 사용할 수 있다.

고체산화물 연료전지의 성능을 좌우하는 핵심 요소가 산소의 환원 반응이 일어나는 공기극인데 현재 페로브스카이트(ABO3) 구조의 산화물들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연구팀은 특히 공기극의 작동 조건인 고온 산화 상태에서 산화물 표면에 스트론튬(Sr) 등의 2차상이 축적되는 표면 편석 현상이 발생함으로써 전극의 성능을 낮추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아직까지 이러한 현상의 구체적인 원리와 이를 억제할 수 있는 효과적인 해결책이 나오지 않았기 때문이다.

개발한 기술을 적용해 안정화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공기극의 표면 [사진=KAIST]
개발한 기술을 적용해 안정화된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공기극의 표면 [사진=KAIST]

정우철 교수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이 변형될 때 면 내 압축 변형이 일어나 스트론튬의 편석을 발생시키는 것을 계산화학적 및 실험적 결과를 통해 확인하고,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내부의 부분적인 변형 분포가 스트론튬 표면 편석의 주요 원인임을 규명했다.

이를 바탕으로 정 교수 연구팀은 크기가 다른 금속을 산화물 내에 장착함으로써 공기극 소재 내부의 격자변형 정도를 제어하고 스트론튬 편석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데 성공했다.

정 교수는 “이 기술은 추가적인 공정 없이 소재를 합성하는 과정에서 소량의 금속입자를 넣는 것만으로 구현된다”며 “향후 고내구성 페로브스카이트 산화물 전극을 개발하는 데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