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에너지전환 및 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에너지신산업 조기창출을 목표로, 9대 실증 프로젝트 추진에 향후 10년간 민관 공동으로 1조 3,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이다. 또한, 종합 실증단지 조성, 실증시설 데이터베이스(DB) 구축, 규제개선 등 실증연구 기반시설과 여건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9대 전략 프로젝트 추진, 10년간 1.3조원 투자
[인더스트리뉴스 박관희 기자] 산업통상자원부는 '에너지기술 실증연구 활성화 추진방안'을 제1회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운영위원회에 상정했다. 에너지 전환, 재생에너지 3020, 4차 산업혁명 대응 에너지신산업 육성 등 정부의 에너지정책 실현은 에너지 신기술이 적기에 사업화되어 시장에 확산해야 가능하다.
에너지기술의 사업화에는 개발제품의 안전성과 성능을 검증하는 실증연구가 필수적이나, 최근 투자규모 감소와 과제 소형화 등 침체기를 겪고 있고 이에 따라 사업화율도 정체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에 정부는 민관 TF를 구성해 차세대 성장동력이 될 대형, 융‧복합 에너지기술 실증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인프라 강화방안을 도출했다. 9대 전략으로 재생에너지 확대, 스마트 에너지사회 구현, 기반에너지 경쟁력 강화의 3대 분야 9대 전략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정부는 실증연구 활성화로 에너지 신산업 조기창출과 기업들의 경쟁력 강화를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사진=pixabay]](/news/photo/201804/23284_13949_5615.jpg)
박기영 산업통상자원부 에너지자원정책관은 “이번에 수립한 실증연구 활성화 방안을 통해 재생에너지 3020 등 에너지전환을 가속화하고, 에너지신산업 조기창출을 통해 국내 업체의 경쟁력도 강화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하고, “향후 이행과정에서 정부의 마중물 투자에 대응한 민간의 적극적이고 과감한 투자를 주문해 9대 전략 프로젝트가 민간주도 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라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인더스트리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