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제조업 혁신하려면? 환경에 적합한 연구가 최우선!
  • 전시현 기자
  • 승인 2018.06.05 18:3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스코는 2015년부터 광양제철소 후판 공장 생산설비에 사물인터넷(IoT)을 적용해 현장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실시간 분석해 예측함은 물론, 인공지능을 통한 자가 학습으로 최적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팩토리를 구축했다.

이상적인 스마트 팩토리 구축하려면 기업과 연구계, 정부 등 협업 필요

[인더스트리뉴스 전시현 기자] 세계적인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동반된 제조업의 침체가 경제 전체에 커다란 영향을 끼침에 따라 전 세계는 제조업의 중요성을 깨닫고 앞다투어 제조혁신을 위한 대규모 투자와 정책 수립 등의 대안을 마련하고 있다.

업계 전문가들은 "국내에서도 정부 주도하에 2017년 기준 2,800개의 기업이 스마트팩토리 구축을 완료했으나 구축 완료 기업의 약 80%의 스마트 팩토리 기술 수준이 기초단계이다"라고 꼬집었다.

이와 관련해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조혜지 선임연구원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첫째, 기업은 스마트 팩토리 구축을 위해 타 산업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협업을 하기 위한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중소기업을 위한 클라우드형 솔루션 개발이 필요하다. 셋째, 국내 실정에 맞는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위해서 선행연구가 먼저 실시될 필요가 있다. 넷째, 제조업의 스마트 혁신을 위한 ICT의 기술 고도화 방안으로 범부처 차원의 정책 수립 및 사업기획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스마트 팩토리를 잘 구축하고 있는 국내 기업으로는 포스코ICT를 예로 들 수 있다.

포스코ICT는 세계 최초로 연속공정 스마트 팩토리 표준 플랫폼인 ‘포스프레임(PosFrame)’을 철강산업 적용에 성공하며 타 공장으로의 확산 적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는 2015년부터 광양제철소 후판 공장 생산설비에 IoT를 적용해 현장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빅데이터 기반으로 실시간 분석하고 예측함은 물론, 인공지능을 통한 자가 학습으로 최적의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스마트 팩토리를 구축했다. 광양제철소 후판부는 철강 고유 연속 공정의 축소판이면서 여러 공정을 가지고 있는 점 때문에 스마트 팩토리 시험 사업장으로 선정됐다.

포스코ICT는 세계 최초로 연속공정 스마트 팩토리 표준 플랫폼인 ‘포스프레임’을 철강산업 적용에 성공하며 타 공장으로의 확산 적용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작업자가 설비 가동상태 및 데이터 흐름을 실시간으로 점검하는 가상의 모습 [사진=포스코ICT]

포스코ICT는 국내 최대 목질자재 전문기업인 ‘동화기업’의 파티클보드(Particle Board) 공장을 스마트 팩토리 시범공장으로 선정해 2018년 8월까지 관련 사업 추진 중이다. 동화기업의 파티클보드는 ‘포스프레임(PosFrame)’을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클라우드 기반으로 적용되어, 인프라 도입에 따른 초기 구축비용을 절감하고 운영 효율성을 높일 전망이다.

이렇듯 포스코ICT는 인공지능(AI)과 빅데이터, 증강현실(AR), 블록체인 등 스마트 기술을 다양한 산업분야에 융합하는 '스마트X'를 키워드로 혁신성장에 나서고 있다.

지난 1월에는 스마트X는 사업 가속화를 위해 조직개편을 단행, 기존 개별 사업팀에 분산됐던 조직을 신사업개발실로 통합했다. 또 다양한 산업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X 솔루션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포스코ICT 관계자는 "연속 공정에서 세계 최초로 확보한 포스프레임을 기반으로 한 스마트X 사업을 활발하게 추진해 올해 기술, 사업 간 시너지를 높여 사업의 경쟁력을 한 단계 높이고 해외시장을 공략하겠다"고 전했다.

또 포스코는 스마트 팩토리 구축과 포스프레임 자력 개발 등의 성과를 인정받아 대한민국 지식대상 대통령상을 수상했다. 지식 기반 혁신 성과를 바탕으로 내부 경쟁력 향상에 기여했을 뿐만 아니라, 외부적으로도 중소 제조현장 혁신 스마트 팩토리 확산 사업 지원, 중소·중견기업 맞춤형 스마트 플랫폼 제공, 취업 준비생 대상 인공지능(AI) 무료 교육 등으로 동반성장 상생 활동에 큰 기여했다는 게 전문가들의 평가다.

조혜지 선임연구원은 "국내 제조업의 혁신을 위해서는 국내 실정에 대한 선행연구가 우선되어야 한다"고 딱 잘라 말한다. 외국 성공사례에만 의존해 정책을 도입할 경우 국내 실정에 맞지 않을 수 있으며 지나치게 이상적일 수 있다. 현실적이지만 미래지향적인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연구계, 정부 등 협업이 필요하다.

그는 "기업은 다양한 자원을 가진 외부 기업과의 협력은 필수적이며, 정부 역시 제조업과 ICT 산업 등 전혀 다른 산업이 융합하는 만큼 타 산업의 기업과의 전략적 파트너십을 위한 복합 산업 융합 정책 수립과 지원 사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국내 중소기업의 실태조사 결과처럼 열악한 환경의 중소기업에 걸맞은 중소기업을 위한 클라우드형 솔루션 도입이 필요하며, 이에 정부는 중소기업을 위한 솔루션 지원 사업이 규모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조혜지 선임연구원은 "ICT의 기술 고도화 방안으로 범부처 차원의 정책 수립 및 사업기획을 통해 제조혁신에 앞장설 수 있는 노력이 지속되어야 한다"라고 조언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