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기에서 진가 입증” 코로나 시대 회복탄력성, 제조업이 좌우했다
  • 최정훈 기자
  • 승인 2021.05.24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디지털전환 가속화 기류에 지속 경쟁력 유지돼야

[인더스트리뉴스 최정훈 기자] 백신 접종에 속도가 붙고, 유가가 펜데믹 이전 수준으로 되돌아가는 등 경기 호전 시그널이 명확하게 나오고 있다. 각국이 이 같은 기류에 서서히 기지개를 키려는 자세를 취하는 가운데 특히, 수출급성장 등 호실적을 보여주는 우리나라의 존재감이 부각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 상황에 맞는 실행 용이한 모델을 적극 발굴해 제시하고, 운용 역량을 다지기 위한 교육도 지속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진=utoimage]
전문가들은 중소기업 상황에 맞는 실행 용이한 모델을 적극 발굴해 제시하고, 운용 역량을 다지기 위한 교육도 지속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사진=utoimage]

지난해 초부터 불거진 펜데믹 악재로 각국 경제는 속절없이 주저앉을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유독 우리나라는 여지껏 큰 부침 없이 선방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지난해 세계경제가 금융위기 이후 최악의 성장률(-3.3%)를 기록한 가운데 우리 경제는 -0.1%정도 소폭 하락하는 데 그쳤다. OECD 평균 실업률도 2/4분기 이후 7~8%대 큰 폭으로 증가한데 비해 우리나라는 4%대 수준을 보였다.

이 같은 성과는 제조업 경쟁력과 맞닿아 있다. 우리나라 제조업은 독일, 중국에 이어 세계 3위 경쟁력을 자랑한다. 2020년 유엔산업개발기구(UNIDO)가 발표한 세계 제조업 경쟁력 지수(CIP Index)에서 전세계 152개국 중 우리나라는 3위에 자리했다. 

선도적인 제조업 경쟁력이 코로나19 위기 국면에서 성장 둔화 최소화 및 고용 안정을 위한 버팀목 역할을 톡톡히 했다. 산업연구원(KIET)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경제 성장 기여도 측면에서 제조업은 2/4분기 -1.6% 포인트 급락 이후 2분기 연속으로 서비스업을 상회한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펜데믹 위기 이전인 2018년, 2019년에는 서비스업이 줄곧 제조업을 크게 따돌렸던 것과 다른 양상을 보여준 것이다. KIET가 IMF, UNIDO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악재에서도 성장률 감소폭이 28개국 중 4번째로 낮았으며, 실업률 증가폭은 6번째로 낮게 나타난 점을 토대로 제조업이 성장 둔화와 일자리 감소에 방어판 역할을 했다고 진단했다.

최근 수출대란에서도 제조업이 힘을 발휘했다. 주요국 대부분의 수출증가율이 곤두박질친 상황에서, 우리나라는 지난해 수출증가율이 2019년 대비 5% 포인트 상승하며 두각을 나타냈다. 이는 대면으로 주로 이뤄지던 서비스업 부진으로 반등에 어려움을 겪던 내수 부문을 제조업이 상쇄했기에 가능했다. 지난해 4/4분기 기준 성장기여도(한국은행)는 수출이 2.1%, 내수가 -0.3%로 집계됐다. 

선두적인 제조업 경쟁력이 코로나19 위기 국면에서 성장둔화 최소화 및 고용안정을 위한 버팀목 역할을 톡톡히 했다. [사진=dreamstime]
제조업 경쟁력이 코로나19 위기 국면에서 성장둔화를 최소화하고 고용 안정을 도모했다. [사진=dreamstime]

코로나 이후 제조업 비호 계속돼야

앞으로 제조업의 경쟁력은 지능화, 고도화가 관건이라는데 이견이 없다. 

개인화, 맞춤화, 다품종 소량생산 등 소비자 요구가 나날이 다변화되면서 전통적인 생산라인으로는 대응이 버거워지고 있다. 업종을 막론하고 맞춤형 대량생산 체제가 요구되는데다 미중 기술 패권 경쟁 격화, 글로벌 공급망 재편, 4차 산업혁명 혁신 기술 선점 등 요인이 가세하면서 제조업의 가치는 계속해서 재조명되고 있다. 각국은 단순히 양적 성장뿐 아니라, 융복합, 고도화, 지능화도 염두해 둔 제조업 정책에 강한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모양새이다. 

이처럼 대내외적으로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선동하고 있지만 국내 제조 현장을 들여다보면 더욱 고삐를 죌 필요가 있어 보인다. 정부가 다양한 정책을 통해 기업들의 스마트제조 등 제조혁신 전환에 불을 댕기고 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2022년까지 3만개 보급을 목표로 역점을 두고 있는 스마트공장이 지난해까지 2만개를 넘어섰다. 향후 정부 중심의 보급보다는 민간의 자발적인 스마트공장 확산을 유인할 수 있는 대·중소 상생형 스마트공장 보급으로도 초점이 맞춰졌다.

대내외적으로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선동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실정을 들여다보면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사진=dreamtime]
대내외적으로 제조업의 스마트화를 선동하고 있지만 우리나라 실정을 들여다보면 개선이 필요해 보인다. [사진=dreamtime]

이처럼 스마트공장 등 보급 성과가 도출되고 있지만 고도화는 미흡한 수준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다. 스마트공장 보급, 확산 위주의 수요확대에 주력했기에 양적 성장이라는 결실을 맺을 수 있다. 하지만, 핵심부품, 소재, 장비의 해외 의존으로 제조업 부가가치율이 선진국(30%) 대비 낮은 수준(25%)이라는 점은 내실 성장이 시급하다는 경각심을 일깨운다.

미진한 개방적 기술 도입과 기존 영역과의 갈등 및 규제 회색지대로 융합 제품 및 서비스의 자유로운 출시의 발목을 잡는 경우가 적지 않다는 것도 개선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중소기업 상황에 맞는 실행 용이한 모델을 적극 발굴해 제시하고, 운용 역량을 다지기 위한 교육도 지속 수반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KIET 관계자는 “현재 국내 제조 기술력은 글로벌 선도 기업 대비 취약한 편이고, 이에 따라 수요기업의 니즈 대응이 어렵다. 업종별로 다양한 요구 사항에 대응 가능한 업종 맞춤형 기술 개발, 지능형 제조 운영 시스템 구축, 저비용·고효율적 중소기업 맞춤형 제조 솔루션 개발에 중지를 모아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