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세대 간 디지털 격차 OECD 국가 중 가장 커…디지털 역량도 하위권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2.03.29 14: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직업훈련·재교육 중점 두고 디지털 경제 전환 추진해야​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디지털 경제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최고 수준의 디지털 접근성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디지털 활용도가 주요국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연구원은 3월 29일 해외 주요기관의 디지털 경쟁력 비교자료를 발표, “한국은 IMD에서 발표하는 디지털 경쟁력 순위(World Digital Competitiveness Ranking 2021)에서 64개국 가운데 12위를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반면 기업의 디지털 활용역량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낮고, 특히 중소기업의 경우 디지털 역량 지표가 대기업에 비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 경제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최고 수준의 디지털 접근성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디지털 활용도가 주요국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utoimage]
디지털 경제로의 진입이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한국은 최고 수준의 디지털 접근성에도 불구하고 기업들의 디지털 활용도가 주요국에 비해 저조한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utoimage]

한국 디지털 경쟁력 양호, 디지털 역량은 저조

한국은 EIU(이코노미스트 계열사) 포용적 인터넷 지수(The Inclusive Internet Index 2021)에서 120개국 중 11위, 시스코(CISCO) 디지털 준비지수(Digital Readiness Index 2019)에서는 141개국 중 8위를 차지했다.

특히 한국은 OECD 국가들 가운데 ‘인구 100명당 100Mbps 이상 고정 광대역 가입자 수’가 40.0명으로 가장 높아, 고품질 인터넷에 대한 접근성이 세계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기업의 디지털 활용역량을 나타내는 주요 지표는 다른 나라들에 비해 낮은 것으로 분석됐다. 유로존(19개국) 및 영국과 우리나라를 비교분석한 결과, 디지털 경제의 활용역량을 보여주는 클라우드 컴퓨팅(Cloud Computing) 사용 비중,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소프트웨어 사용 비중, 이커머스(Electronic Commerce) 매출 비중 등에서 우리나라 기업은 평균 이하를 기록했다.

인구 100명당 100Mbps 이상 고정 광대역 가입자 수 (2020년) [자료=한경연]
인구 100명당 100Mbps 이상 고정 광대역 가입자 수 (2020년) [자료=한경연]

우리나라 대기업 가운데 클라우드 컴퓨팅 사용 비중은 46.5%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최하위를 기록했다. 중소기업은 이보다 낮은 24.5%로 9위를 기록했다. 디지털 경제시대 개인화된 고객관계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하는 CRM 사용 비중도 최하위권이었다. 대기업 가운데 CRM(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소프트웨어 사용 비중은 51.2%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19위를 기록했으며, 중소기업은 17.3%에 그쳐 역시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19위를 기록했다.

이커머스 매출이 발생하는 기업 비중도 대기업은 38.2%를 기록해 조사대상 20개국 가운데 17위였다. 중소기업은 이보다 낮은 20.1%를 기록했으나, 조상대상국 순위에서는 11위였다.

뒤처지는 중소기업 디지털 역량, 고령화디지털 양극화도 한 몫

한경연은 중소기업의 디지털 전환이 대기업에 비해 뒤처지는 이유로 고령화 및 디지털 양극화를 꼽았다.

실제 중소기업 종사자 가운데 60세 이상 비율은 대기업보다 높을 뿐만 아니라, 격차도 더 커지고 있다. 중소기업 60세 이상 비율은 2016년 14.3%에서 2020년 18.4%로 늘었고, 대기업 60세 이상 비율은 2016년 2.8%에서 2020년 4.8%로 증가했다.

연령대를 기준으로 한 우리나라 디지털 양극화는 OECD 내에서 최고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16~24세 가운데 디지털 고숙련군의 비중은 63.4%로 OECD 국가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55~65세의 경우에는 3.9%로 나타나 세대 간 디지털 숙련도 격차가 OECD 국가 중 가장 컸다. 

OECD 세대 간 디지털 숙련도 격차 [자료=한경연]
OECD 세대 간 디지털 숙련도 격차 [자료=한경연]

한국경제연구원 조경엽 경제연구실장은 “보조금이나 대출 등 단기적이고 금전적인 부분에 치중할 것이 아니라 디지털 기술에 적응할 수 있는 지속적인 대응책이 필요하다”며, “디지털 기술을 가진 인재를 유치하는 것이 디지털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근본적인 해결책이므로 디지털 관련 교육 및 훈련을 강화해 나가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어 “고령화 시대에 직면한 지금 세대 간 디지털 격차를 해소하기 위해 고령층의 디지털 적응도를 집중적으로 높여 나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