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삼성전자가 반도체 사업 50년을 맞아 삼성 반도체의 정신적 지주 역할을 해 온 ‘반도체인의 신조’를 새로 만든다. 삼성의 반도체 초격차 경쟁력을 회복하기 위해 시대의 변화에 맞는 혁신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23일 업계 등에 따르면 삼성전자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DS인의 일하는 방식’을 제정하기 위해 임직원을 대상으로 의견을 모으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반도체인의 신조’는 1983년 메모리 반도체 사업에 도전장을 내밀었던 삼성전자가 임직원의 의지를 다지고자 만든 10가지 행동 다짐을 말한다.
1974년 한국반도체를 인수하며 반도체 사업에 첫발을 띤 삼성은 1983년 고(故) 이병철 창업회장이 일본 도쿄에서 반도체 산업에 본격 진출한다는 내용의 ‘도쿄 선언’을 발표하며 반도체 사업에 매진하기 시작했다.
이를 두고 당시 실패 가능성을 점치는 부정적인 예상이 많았으나, 삼성은 1992년 세계 최초로 64Mb(메가비트) D램을 개발한 데 이어 1993년 메모리 반도체 시장 점유율 세계 1위를 차지하는 등 저력을 과시했다.
다만 최근 반도체 기술과 시장 트렌드가 급변하면서 삼성 반도체의 구심점이 됐던 반도체인의 신조를 계승하면서도 ‘앞으로의 50년’을 위해 새롭게 일하는 방식을 만들기로 한 것이다.
이는 최근 삼성이 겪는 위기를 타개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삼성전자는 인공지능(AI) 시장 열풍 속 고대역폭 메모리(HBM) 시장에서 SK하이닉스에 주도권을 뺏긴 상태다.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 사업의 경우 글로벌 1위인 대만 TSMC와의 격차가 점점 벌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유가증권시장에서 삼성전자 주가는 52주 신저가를 연일 경신하며 6만원대로 주저앉았다. 지난 7월 창사 이래 처음으로 노조가 파업에 돌입한 데 이어 최근에는 방사선 피폭 사고 여파로 노사 갈등도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