빅데이터 분석, 하루 평균 1,151만명이 서울생활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8.03.03 21:4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시와 KT의 빅데이터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서울 외 지역에서 거주하는 인구는 최대 165만 명으로, 경기‧인천 주민이 89.2%를 차지했다. 실제로는 경기‧인천에 살지만 서울에 있는 직장이나 학교로 출근, 등교하는 등 실제 생활을 사실상 서울에서 생활하는 인구라는 것이다.

고양과 성남, 부천시가 서울 생활인구 많아
서울시와 KT, 빅데이터 융합으로 '서울 생활인구' 개발

[Industry News 박관희 기자] 서울에 거주하는 사람은 물론, 서울로 출근‧등교하는 사람과 관광‧사업‧병원진료 차 서울을 방문 중인 사람을 포함하면 일일 평균 1,151만명이 사실상 서울에서 생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 인구 1,013만명보다 138만명 더 많은 숫자다.

서울시는 서울시의 행정 빅데이터와 KT 통신 빅데이터를 융합해 ‘서울 생활인구’ 개발을 완료하고 3일 개최된 ‘4차 산업혁명시대, 데이터의 역할’ 열린토론회에서 최초로 이를 공개했다. [사진=서울특별시]
서울시는 서울시의 행정 빅데이터와 KT 통신 빅데이터를 융합해 ‘서울 생활인구’ 개발을 완료하고 3일 개최된 ‘4차 산업혁명시대, 데이터의 역할’ 열린토론회에서 최초로 이를 공개했다. [사진=서울특별시]

서울시는 서울시가 보유한 행정 대중교통 이용통계, 인구‧사업체 통계 등 빅데이터와 KT의 통신 빅데이터를 융합, 10개월간의 공동 연구개발 끝에 ‘서울 생활인구’라는 새로운 인구모델을 개발 완료했다고 밝혔다.

'서울 생활인구'는 서울에서 사실상 생활하는 인구다. 서울에 살고 있는 사람(상주인구)과 일, 교육, 의료 등을 이유로 일시적으로 서울에 머물고 있는 '비상주인구'와 관광을 위해 서울을 찾은 '외국인 인구'까지, 서울의 행정서비스 수요를 유발하는 모근 인구를 포함한다.

UN에서는 상주인구(Residence Population)가 도시서비스의 수요 및 공급을 잘 설명하지 못할 때 서비스인구(Service Population)를 작성하는 것을 권고하고 있다. 행정서비스의 기준인 서울의 주민등록인구는 2010년부터 감소추세인 반면, 생산성과 도시의 활력을 나타내는 ‘경제활동인구’와 ‘주간인구’는 오히려 증가추세다.

'서울 생활인구'는 KT의 휴대전화 통신(LTE) 시그널을 기반으로 각 기지국별 인구를 집계해 전체 인구를 추정하고, 서울시의 행정 통계 공공데이터(교통이용통계 등)를 활용해 서울 전역 총 1만9,000여개 집계구 통계청에서 통계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축한 최소 통계구역 단위로, 서울은 약 1만9,153개(2016년 기준)의 집계구로 나눌 수 있음. 단순히 크기로만 비교한다면 주소 통/반의 통과 비슷하다고 할 수 있다.

단위별로 1시간 단위 인구를 추계하는 방식으로 산출했다. LTE 시그널 정보를 활용해 인구를 추정한 것은 세계 최초다. 추계 과정에서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학계와 민간, 공공기관의 빅데이터, 통계, 공간, 인구 전문가가 참여해 10개월간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서울시는 ‘서울 생활인구’ 데이터를 통해 정확한 행정수요를 파악하고 시정 계획 수립 시 인구지표의 하나로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서울 외 지역에 거주하면서 출근, 통학 등의 사유로 서울에서 생활하는 인구는 최대 165만 명으로, 경기가 78.6%, 인천이 10.5%으로 나타났다. 시‧군별로는 고양시가 15만명, 성남시가 14만명, 부천시가 12만명, 남양주시가 11만명 순이었다.

날짜별로는 평일이 평균 1,175만명으로 주말 1,139만명에 비해 36만명 더 많고, 평일 낮 시간이 새벽시간에 비해 70만명 더 많은 것으로 추계됐다. 특히 시내 주요지점 중 홍대 앞의 경우 금요일~일요일에 밤 늦게까지 20대 생활인구가 많은 것으로 관측됐다.

KT 플랫폼사업기획실 김형욱 실장은 ‘서울 생활인구’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민관 협력모델로 성과를 창출한 사례라며, 생활인구 추계 결과가 스마트 시티 서울을 구현하는데 초석이 되길 바란다’라고 말했다.

박원순 시장은 “양질의 데이터를 확보하고 활용하는 주체가 4차 산업혁명시대의 미래를 선도할 것”이라며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행정혁신에 크게 기여할 생활인구와 같은 공공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개방하겠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