석탄 비중 줄이는 중국, 국내 유입 미세먼지 개선이 중요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8.04.02 15: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중국의 석탄 화력발전 비중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은 겨울 난방을 위한 연료로 석탄 등 화석연료를 사용해왔는데, 최근 에너지정책기조를 청정에너지 확대로 방향을 잡으면서 중국발 미세먼지 국내 유입이 줄어들 것으로 기대된다.

석탄연료 대체, 수력 등 신재생 발전 높인다

[인더스트리뉴스 박관희 기자] 중국 에너지 수급 구조가 개선될 전망이다. 에너지 업계 및 에너지경제연구원에 따르면 중국 국가에너지국(NEA)의 ‘2018년 에너지업무지도의견’에서 에너지 정책기조로 에너지공급부문 개혁 지속, 에너지공급의 양적성 성장에서 질적 성장으로 전환, 청정에너지 확대 등을 목표로 하고 있다.

중국은 석탄의존도 감축정책을 통해 기후변화대응과 자국의 대기환경 개선을 위해 지속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에너지공급의 안전성을 고려해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라는 사실이 확인됐다.

중국은 현재 수준에서 석탄 생산능력을 1.5억톤 감축할 계획이고, 이를 위해 낙후된 시설과 부실기업 퇴출, 구조조정의 수단을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석탄산업발전 13.5계획’을 통해 석탄 감축이 이뤄지고 있는 중국은 2016년 2.5억톤, 지난해는 1.5억톤을 초과 감축했고, 석탄 탄광은 약 7,000개 수준으로 축소했다.

노후화된 시설 퇴출과 더불어 석탄연료 대체도 촉진된다. 중국은 석탄연료를 대체하기 위해 각 지역의 조건에 따라 난방용 에너지를 석탄에서 청정에너지로 대체하는 프로젝트를 적극 추진하고 있고, 청정에너지로 대체되는 지역규모를 약 10억m2으로 설정하고 있다.

지난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 중국 영향이 70%에 이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지난해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 중국 영향이 70%에 이른다는 연구결과가 발표됐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에너지경제연구원 전희정 연구원은 “석탄비중을 줄이기 위해 진사강과 야룽강, 다두강, 황허 상류 등에 수력발전단지 조성을 추진하고, 올해 안에 진샤강 라둥 수력발전소를 착공할 계획이다”며, 새롭게 조성될 수력발전단지 규모만 6GW이다”고 밝혔다.

수력발전에 더해 풍력과 태양광 등 신재생에너지 보급도 확대된다. 현재 중국은 13.5 계힉을 통해 분산형 재생에너지 발전을 강조하고 있다. 오는 2020년까지 비화석에너지 소비목표 비중을 15%로 잡고 있다. 중국재생에너지산업협회에 따르면 비화석에너지 소비목표인 15%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신재생 전력용량 총 전력 설비의 39%를 차지하는 770GW에 이르고, 국가 전력의 31%를 신재생에너지 설비가 생산하게 된다.

문제는 송전망이다. 한국에너지공단이 분석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 재생에너지 설비 용량 비중은 9.5%였으나 발전량 비중은 3.2%에 불과해 설비 이용률이 저조한 것으로 파악됐다. 뿐만 아니라 2014년 기준 송전망 접속능력 부족 등의 이유로 이미 구축된 풍력과 태양광발전 설비가 가동되지 못하거나 생산된 전력의 손실전력이 발생하는 문제가 반복되고 있다.

지난해 연말 방한한 중국재생에너지산업협회 왕웨이콴 사무차장은 “중국의 북동쪽과 북서지역은 대규모의 태양광, 풍력 단지가 집적되어 있지만 발전 전력이 공급되지 않는 상황이다”면서 “적자의 폭이 확대되고 있는 보조금과, 역시 지원이 줄고 있는 발전차액지원제도 등은 전력난 해소와 함께 시급한 과제다”라고 지적한 바 있다.

계통 연계, 손실전력 발생 등 일련의 문제만 빠른 시간 내 해결된다면 중국의 석탄 비중 감축은 순조롭게 이뤄지고 이를 통해 국내 대기환경 개선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고농도 미세먼지, 중국 기여도 높아

지난달 말 고농도 미세먼지가 국내에 유입되던 시기 서울대 박록진 교수는 한 방송사와 인터뷰를 통해 대기 흐름이 중국의 산둥반도, 중국 동쪽 공업지대를 거치고 한반도에 들어온다는 사실을 알렸다.

미국항공우주국(NASA)과 국립환경과학원이 지난해 발표한 'KORUS-AQ'에 참여하기도 했던 박 교수는 당시 “중국에서 많은 오염물질이 넘어올 때는 중국 기여도가 70%까지 올랐고 정체 현상이 심할 때는 국내 기여도가 50%까지 올랐다"고 밝힌 바 있다.

관련해 환경분야 민간 연구소 관계자는 “고농도 미세먼지 발생시 중국발 기여도가 높은 것이 이미 확인 됐다”면서 “중국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탈석탄 정책의 연착륙해 국내 대기 환경도 개선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