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확산 위해 오픈 이노베이션 생태계 필요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8.09.04 11: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 산업분야의 제조 경쟁력은 높지만, 공정혁신이 요구되며, 이를 위한 스마트공장의 지속적인 운영에 있어서도 수집된 정보를 통합적으로 분석하고, 의사결정에 필요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관리할 현장 전문 인력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공정혁신 기업, 유럽 주요국의 5분의 1수준

[인더스트리뉴스 박관희 기자] 생산가능 인구 감소와 국내 제조업의 기반 약화 등으로 인해 한국의 제조업 글로벌 경쟁력이 약화되고 있다. 특히 제조업 분야 공정혁신기업 비중은 유럽 주요국에 비해 턱없이 낮아 스마트공장 등의 도입을 통해 공정혁신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우리나라 공정혁신기업의 비중은 OECD 36개국 중 24위로 낮은 수준이다. [사진=dreamstime]
우리나라 공정혁신기업의 비중은 OECD 36개국 중 24위로 낮은 수준이다. [사진=dreamstime]

글로벌 컨설팅 기업인 딜로이트(Deloitte)는 2010년부터 매 3년마다 제조기업 대상 설문조사를 기반으로 주요국의 경쟁력을 조사해 발표하고 있다. 지난 2016년 조사에서는 40개국의 제조업 경쟁력에 대한 설문조사가 이뤄졌고, 563개 제조기업의 응답을 통해 결과를 도출했다. 한국의 제조업경쟁력지수는 2010년부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에도 경쟁력지수는 소폭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순위는 하락하고 있는 추세이다.

제조업 경쟁력을 높게 평가받는 것과는 달리 제조업 분야 내 혁신활동은 저조하게 나타나고 있고, 특히 제품과 공정혁신기업의 비중은 OECD 36개국 중 24위로 낮은 수준이다. 2011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제조업 연구개발비는 공정보다는 제품개발·생산에 집중하고 있으며, 공정에 대한 비중이 증가하고는 있지만 신공정보다는 기존 공정 유지의 목적이 크다.

때문에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은 제조업 분야 공정혁신기업 비중은 유럽 주요국의 1/5 수준으로 조사대상국 중 최하위권에 속해 있는 등 스마트공장 등의 보다 적극적인 도입을 통해 공정혁신을 더욱 강조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제조업을 중심으로 한 수출 위주의 전략을 통해 경제를 성장시킨 우리나라는 수출에 있어서도 제조업의 비중이 매우 높다. 1960년대의 GDP 대비 제조업의 부가가치 비중은 약 6%에 불과했지만, 2012년 이후 약 30%까지 확대됐고 그 비중은 제조 강국인 독일, 일본보다 높은 수준이다.

총 상품 수출 대비 제조업의 수출 비중은 1980년대 이후 90% 수준을 유지 중으로, 중상위 기술 기반의 제조업에서의 부가가치 및 수출 비중이 매우 높게 나타나고, 한국은 LCD와 TV, 메모리반도체, 조선 등 하이테크 분야에서의 높은 경쟁력을 가지고 있으며, 기업 R&D에서 하이테크가 차지하는 비중이 50% 이상을 차지한다.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신동평 박사는 “스마트공장은 제조기업의 공정혁신을 가장 효과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수단으로 생산성 향상과 공정 효율성 제고 등의 직접적인 효과는 물론, 간접적으로는 기업 내 의사결정 메커니즘을 바꾸는 등 기업의 조직혁신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신 박사는 “현재 스마트공장 정책은 기초 수준의 시스템 보급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고, 기업의 경쟁력 제고는 물론 제조업 혁신의 실현 등 장기적인 차원의 정책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업계에서는 정부의 스마트공장 R&D 사업이 IoT, 센서, CPS 등 기술공급자 중심의 기술단위별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수요기업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사진=dreamstime]
업계에서는 정부의 스마트공장 R&D 사업이 IoT, 센서, CPS 등 기술공급자 중심의 기술단위별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수요기업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다. [사진=dreamstime]

현재 상대적으로 단기성과 창출이 용이한 ERP, MES 등 생산·자원관리 솔루션 보급을 중심으로 지원이 이뤄지고 있으며, 기존 시설의 업그레이드 등 중간2 수준 이상의 공급은 낮은 편인 현재 상황을 개선하자는 취지이다. 플랫폼의 개발과 확산 단계에서는 제조기업 스스로 문제 해결이 가능하도록 정보 공유 기반의 오픈 이노베이션을 전제로 한 산업생태계가 조성될 필요성도 강조했다.

최근 업계에서는 정부의 스마트공장 R&D 사업이 IoT, 센서, CPS 등 기술공급자 중심의 기술단위별 연구개발이 진행되어 수요기업과의 연계성이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고 있고, 공통의 플랫폼이나 표준화에 대한 요구가 높다.

이와 관련해 신 박사는 “출연연, 대학 등을 중심으로 추진되고 있는 현재의 정부 R&D 사업은 공통 플랫폼 개발, 표준화 연계 기술개발을 목표로 공급기업의 역할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말했고, “제조기업이 필요로 하는 스마트공장의 수준과 범위를 판단하고, 구축 후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는 기업 내 공정 전반과 스마트공장 운영 시스템을 동시에 이해할 수 있는 전문인력의 양성도 요구된다”고 밝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