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위스 ICT 시장 확대에 따른 한국 기업의 진출 전략은 무엇?
  • 방제일 기자
  • 승인 2018.12.16 1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가 혁신경쟁력 1위로 알려진 스위스는 최근 4차 산업 시대로의 전환을 위해 다양한 방면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ICT 산업에 대한 투자와 관심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특히 바이오테크에 이어 가장 많이 투자하는 분야가 ICT 산업이며 지속적인 성장으로 인해 전문인력 부족이 심해질 것이라고 예상되는 등 앞으로도 활발하게 규모를 키울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스위스, ‘4차 산업혁명은 필연적인 절차이며 핵심은 ICT’

[인더스트리뉴스 방제일 기자] 정보통신정책연구원(KISDI)의 ‘4차 산업혁명과 ICT 보고서’에 따르면 4차 산업혁명 시대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를 통하여 많은 일이 수행된다고 보고 있다. 

4차 산업혁명은 범용기술로 ICT가 그 핵심이다. 특히 IoT, 클라우드, 빅데이터, 모바일과 인공지능 등 지능정보기술로 진화하고 상호작용해 산업 전반과 자동화가 진행되고 있다. IoT는 기업 또는 클러스터 차원의 생산 프로세스 자동화로 진행돼 연결된 제조업과 산업으로 진화할 전망이며 모바일은 스마트폰은 물론 VR기기, AR기기, 웨어러블기기 등으로 다양하게 변화될 것으로 예견하고 있다. 이는 곧 인공지능과도 연결될 전망이다.

[사진=dreamstime]
국가 혁신경쟁력 1위로 알려진 스위스는 최근 4차 산업 시대로의 전환을 위해 다양한 방면에서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ICT 산업에 대한 투자와 관심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 [사진=dreamstime]

시장 조사 기간 딜로이트(Deloitte)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스위스 기업들은 4차 산업혁명을 필연적인 절차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로선 기업들은 아주 작은 영향력을 끼치고 있지만 장기적으로 봤을 때 스위스 산업에 이득을 가져올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한편 스위스 경제 연구소 KOF(Swiss Economic Institute)는 스위스 라디오 및 TV채널 SRF와 협력해 스위스의 대학 및 연구 기관에서 일하는 경제학자들을 대상으로 4차 산업과 현재의 변화에 대해 어떻게 변화하는지 처음으로 조사했다.

경제학자들은 장기적으로 보면 스위스 경제에 커다란 변화를 가져오지는 않지만 단기적으로는 노동시장에 자동화와 디지털화로 인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했다. 또한 디지털화와 로봇들로 인해 저숙련 노동자의 수요가 감소하고 전체적으로 노동자들의 퀄리티가 상승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스위스는 4차 산업혁명과 기술 도입들로 인해 좋은 영향을 받고 경쟁력을 갖출 것이라고 전망했다.

MSM 리서치에 따르면 스위스 산업은 ICT 예산 중 평균 25%를 ICT 인프라 조성에 투입하고 있으며 디지털화를 비롯한 시장 환경 변화로 비용 부담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비용 증가로 인해 프로세스의 단순화, 클라우드 컴퓨팅 활용 증가, 외주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이로 인해 클라우드가 디지털 주요 성장 동력으로 각광을 받고 있으며 전체 기업 중 30% 만이 단독으로 ICT 업무를 소화하고 70%가 서비스 외주 및 클라우드 등을 활용한 하이브리드 형태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dreamstime]
스위스와의 협력은 ICT 분야에 강점을 보이는 한국에 있어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스위스 ICT 분야는 만성적으로 전문 인력의 부족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사진=dreamstime]

한편 지난 2016년 7월 한국과 스위스는 이미 ICT 협력 MOU를 체결한 바 있다. 이동통신 및 정보보호, IoT 빅데이터, 클라우드 등 정보 교환, 인력 교류, 세미나 개최, 공동연구 사업, 창업기원 상호지원 및 기술사업화 등을 함께 추진한다는 약속을 MOU에 담았다.

또한 지난 11월 16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스위스의 수도라고 할 수 있는 베른에서 스위스 연방교육 연구혁신청과 함께 제5차 한-스위스 과학기술공동위원회를 개최하기도 했다. 내년에 시작되는 차기 혁신연구 프로그램을 통해 디지털헬스, 신소재, 분자물리 분야 공동연구 협력을 추진하기로 결정했다. 사물인터넷 및 가상·증강현실 분야 산학연이 참여하는 '한-스위스 혁신주간' 행사를 개최하기로도 합의하기도 했다.

이런 스위스와의 협력은 ICT 분야에 강점을 보이는 한국에 있어 호재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스위스 ICT 분야는 만성적으로 전문 인력의 부족을 호소하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디지털경제정책위원회가 발표한 '디지털경제전망 2017' 한국 특별판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세계 최고의 ICT 인프라를 보유하고 있으며 ICT 경제 성장 기여도가 2017년 세계 1위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한국은 ICT 부가가치(10.4%), ICT 고용비율(4.6%), 연구개발 사업지출 중 ICT 점유율(3.3%), ICT 특허비율(18%)에서 1위를 차지했다.

ICT 관련 업계 전문가는 스위스 진출을 모색하는 국내 스타트업 및 ICT 관련 기업에 대한 조언으로 “스위스 스타트업 기업은 바이오‧엔지니어링 등 상품 기술과 하드웨어가 발달돼 있는 반면, 한국 스타트업 기업은 애플리케이션 등 서비스 중심으로 발달돼 있어 잠재적으로 상호보완적인 성격을 띠고 있다”며, “이는 기업의 디지털화, IT 서비스화 수요를 감안해 현지 기업과 상호 시너지를 발휘할 수 있는 전략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외에도 양국간 공공 R&D 지원 프로그램에 공동 참여를 하거나 만성적으로 부족한 현지 IT 인력 수요를 겨냥한 해외취업 등 다른 방법으로 시장에 접근하는 것도 검토가 가능하다고 그는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