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호주 넷 제로 전환 위해 R&D·소재·자원까지 협력 강화
  • 최종윤 기자
  • 승인 2023.09.09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경련, 호주 AKBC와 제44차 한호 경제협력위원회 개최

[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한국과 호주의 첨단기술 협력이 본격화되고 있다. 한국과 호주는 광물자원 중심의 전통적인 협력관계에서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 연구 등 탈탄소 사회 전환을 위한 핵심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과 호주가 광물자원 중심의 전통적인 협력관계에서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 연구 등 탈탄소 사회 전환을 위한 핵심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gettyimage]
한국과 호주가 광물자원 중심의 전통적인 협력관계에서 CCS(이산화탄소 포집‧저장 기술) 연구 등 탈탄소 사회 전환을 위한 핵심분야 협력을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gettyimage]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지난 8일 JW메리어트 호텔에서 호주AKBC(Australia-Korea Business Council, 호-한 경제협력위원회)와 ‘제44차 한-호주 경제협력위원회’를 공동 개최했다. 코로나 팬데믹 이후 한국에서는 첫 대면회의로 진행된 이번 제44차 회의에는 최정우 한-호 경협위원장(포스코그룹 회장), 존 워커(John Walker) AKBC 위원장, 로저 쿡(Roger Cook) 서호주 주(州)총리, 한기호 의원(한‧호주 의원친선협회 회장), 배상근 전경련 전무, 캐서린 레이퍼(Catherine Raper) 주한호주대사 등이 참석했다.

자원개발부터 생산까지, 전산업 협력 확대되는 한-호주 관계

최정우 한-호 경제협력위원회 위원장은 인사말을 통해 “호주는 신재생에너지 확보를 위한 첨단기술 연구, 국가안보, 먹거리, 친환경 소재 등 우리 일상과 맞닿은 모든 분야에서 미래지향적 협력을 할 수 있는 국가”라며, “실제로 국가 간 협력단계까지 가는 것은 기술격차나 사회문화적 환경 차이로 쉽지 않지만, 한국과 호주는 자원개발부터 생산까지 전 단계에서 협력이 가능한 사이”라고 언급했다.

AKBC 존 워커(John Walker) 위원장 역시 “호주의 세 번째로 큰 무역 파트너이자, 세 번째로 큰 수출시장인 한국은 자원과 기술이라는 양국 간 상호보완적인 장점을 기반으로 미래 첨단산업 발전에 필수적인 핵심광물의 안정적인 공급망 구축을 위해 협력하고 있으며, 탈탄소 문제에 함께 직면하면서 전통적 협력관계에서도 혁신을 만들어가고 있다”고 언급했다.

첨단기술 연구협력국가, 미·일에서 호주로 확대… 넷 제로 전환 핵심 파트너로

이번 경협위에서는 ‘한-호 협력을 통한 혁신적 미래 탐색’을 주제로 첨단기술 연구개발(R&D) 협력, 핵심광물, 방위‧항공우주, 식품 및 바이오, 청정에너지(수소) 등 5개 분야에 대한 양국 협력방안이 논의됐다.

세션 1 발표를 맡은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강진원 박사는 “우리나라 연구개발 협력은 미국, 일본 등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2010년경 이후 일본과의 협력 비중은 줄어들고 중국과 호주의 비중이 증가하는 추세”라며, “한국과 호주가 연구협력 시너지 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상호 강점 분야를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국지질자원연구원(KIGAM) 박용찬 박사는 탈탄소 전환을 위한 핵심기술로 각광받고 있는 탄소 포집 및 저장(CCS) 분야의 협력사례를 소개하며 “고갈가스전과 대수층 CO2 주입 관련 기술을 개발해 온 지질자원연구원에게 호주와 CO2CRC*는 최고의 연구 파트너”라고 언급했다.

소재, 광물자원 협력 강화해 이차전지 공급망 구축 골든타임 지켜야

이차전지 등 친환경배터리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광물 협력에 힘써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호주 광물 탐사 기업 Arafura(Arafura Resources)의 개빈 로키어(Gavin Lockyer)는 호주 연방정부의 지원을 받는 놀란스(Nolans) 희토류 프로젝트를 소개하고, 호주와 한국 기업들이 함께 참여해 현재 중국이 전세계 공급망을 장악하고 있는 희토류 자원의 친환경적이고 안정적인 공급망 확보가 가능하다고 언급했다.

포스코홀딩스 이경섭 전무는 “친환경 핵심산업인 이차전지의 공급망(supply chain) 구축의 골든타임을 향후 3년으로 보는데, IRA와 CRMA 등으로 중국을 제외한 배터리 공급망 구축 협력이 필수적인 상황에서 한국과 호주가 협력하여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아야 할 것”이라고 전했다.

방산/식품 등 전통적 산업협력 분야에서도 혁신 이어져

방산과 식품 등 분야에서도 양국 기업간 협력이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협위 오찬에 참석한 한기호 의원(한·호 의원친선협회장)은 축사를 통해 “국회의원 이전 오랜기간을 군에 몸담았던 사람으로서 호주는 한국의 핵심 안보 파트너였으며, 인도태평양 전략과 경제안보 측면에서도 양국 방산협력의 중요성이 높아지는 가운데 최근 호주군이 수주하는 대규모 장갑차 계약에 한국기업이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되는 등 성과를 보이고 있어 고무적으로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호주 산업용 CNC 연삭기계 기업 ANCA의 CEO 마틴 리플(Martin Ripple)은 “역내 안정을 위해서 각 분야의 리더급들이 모여 파트너십을 맺는 것이 중요하다고 본다”며, “이번 제44차 한-호 경협위를 참석하며 이러한 협력의 기회가 앞으로 더욱 많이 생기기를 기대한다”고 소감을 밝혔다.

소고기 등 전통적으로 호주가 강점을 지닌 식품산업에서도 한/호 양국 협력관계에 새로운 변화가 조성되고 있다는 발언도 이어졌다. 세션 4 발표를 맡은 롯데상사 이세호 상무는 “롯데상사는 메탄가스 절감을 위해 한국의 IT 기술을 접목해 지속가능하고 우수한 축산 생태계를 구축하고자 한다”고 언급했다.

CJ제일제당 차유진 오세아니아법인장은 K-한류 등 한국문화의 인기가 양국 협력관계에 새로운 흐름을 불어넣고 있다고 설명하며 “최근 식품, 드라마, 영화, 음악 등 문화 콘텐츠가 호주 현지에서도 큰 인기를 끌며 한국 기업들의 현지 사업 확장에 많은 도움을 주고 있다”고 언급했다.

수소 중심 청정에너지 협력기반 견고, 정부지원으로 가속화 필요

양국 기업이 수소를 중심으로 청정에너지 협력기반을 넓혀가는 가운데 이를 위한 양국 정부의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도 제기됐다.

고려아연 류재길 팀장은 호주가 자국내 생산한 그린수소의 글로벌 공급 시장 선점을 돕기 위해 지원정책을 마련한 것과 관련해 “한국도 국내 기업들이 해외에서 직접 생산하고 도입하는 그린 수소 프로젝트에 대해 정부가 제도 및 재정 지원을 제공해 안정적인 수소 공급원과 장기적인 에너지 안보를 선제적으로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언급했다. 류 팀장은 “한-호 민간 부문에서 진행하는 그린 수소 생산 및 공급 프로젝트를 양국 공동 국책 사업으로 지정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포스코홀딩스 조주익 전무는 “포스코는 호주와 그린수소 분야 협력 확대를 위한 첫 단계로 친환경 철강원료인 HBI 생산에 필요한 그린수소 생산 프로젝트를 통해 2027년까지 HBI 생산에 소요되는 연 2,000톤의 그린수소 생산설비를 준공하고, 2040년까지 1백만톤의 그린수소 생산체제를 구축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협위 합동회의에 앞서 7일 진행된 제44차 한-호 경협위 환영만찬에는 한국과 호주 양국 기업이 참석해 네트워킹 시간을 가졌다. 최근 미중갈등과 우크라이나 전쟁 등으로 인한 공급망 불안에 대응할 수 있는 협력국가이자 넷 제로 이행을 위한 수소 등 친환경에너지/소재 산업 협력국가로서 호주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환영만찬에는 양측 위원장, 캐서린 레이퍼 주한호주대사 등 양국 관계자 약 200명이 참석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