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병환 금융위원장, “정부 가계부채 급증에 확실히 대처...필요시 추가 조치”
  • 이주엽 기자
  • 승인 2024.09.06 17: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주택시장 과열되면서 가계대출 빠르게 증가
가계대출 증가 바로 잡아야 국민께 도움 돼
은행 대출 관리는 자율적…획일적 조치는 부적절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가계부채 관련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사진 = 공동취재단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가계부채와 관련된 브리핑을 하고 있다 / 사진 = 공동취재단

[인더스트리뉴스] 금융당국은 가계부채의 급증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방침이며 상황이 악화되면 추가적인 조치를 신속하게 시행하겠다고 밝혔다.

김병환 금융위원장은 6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 후 브리핑을 통해 “정부의 가계부채 관리 강화 기조에는 어떠한 변화도 없다”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는 최상목 경제부총리, 박상우 국토교통부 장관, 이복현 금융감독원장, 박춘섭 대통령실 경제수석 비서관 등이 참석했다.

김 위원장은 “최근 주택시장이 다소 과열되면서 가계대출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며 “가계대출의 증가를 바로잡아야 거시경제와 주택시장이 안정될 수 있고 궁극적으로 국민들에게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최근 은행권에서 자율적으로 다양한 대출 관리 노력을 하고 있지만 정부의 입장이 불명확하다는 우려와 은행별로 관리 조치에 차이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고 강조했다.

김 위원장은 “가계대출을 적극적으로 관리해야 하지만 정부가 일률적으로 통제하기보다는 개별 금융회사가 리스크 수준과 차주의 특성을 평가해 투기적 수요를 제한하는 방식으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그는 은행권의 자율적인 관리 조치가 갭 투자와 다주택자 대출 등 투기적 대출을 관리하려는 취지라고 이해하며 정부가 일률적인 기준을 설정할 경우 개별 상황을 고려하기 어려워 국민의 불편이 더 커질 수 있다고 설명했다.

김 위원장은 “차주들의 사정을 가장 잘 아는 은행들이 합리적인 방식으로 고객 불편을 잘 해소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그는 정부의 일관된 가계부채 관리 목표는 가계부채 비율을 안정적으로 낮추어 거시경제와 금융시장의 안정을 달성하는 것이라며, 가계부채 부담이 누적되면 거시경제와 주택시장 과열, 금융시장 불안 등의 악순환을 초래할 수 있다고 재차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