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배터리 소재·부품·장비·리사이클링 등 이차전지 관련 전 분야 다뤄
- 전시장 사전등록 참관객 강연 무료 입장... 주요기업 홍보부스 운영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글로벌 배터리 시장에 대응해 세계 각국과 기업들이 대응 전략을 쏟아내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전기차 시장이 일시적 침체기를 겪으며 이차전지 산업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그러나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이차전지 산업 성장을 이끄는 다양한 변화도 주목되고 있어 빠르게 바뀌고 있는 시장 상황에 많은 관심이 모이고 있다.
최근 국내에서도 충북 청주, 전북 새만금, 경북 포항, 울산 등 4곳을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선정하는 등 적극적인 정책 지원과 투자를 아끼지 않고 있다. 소재부터 부품, 장비, 생산, 공급과 더불어 재활용, R&D까지 배터리 생태계 전 분야의 규모가 확대되고 있는 상황이다.

오는 10월 1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 1층 그랜드볼룸에서 국내외 배터리 산업 동향과 미래 전략을 제시하는 ‘2024 배터리코리아(BATTERY KOREA 2024)’ 컨퍼런스가 개최된다.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리사이클링 분야의 마켓 투자 전략과 정책, 기술, 비즈니스 등 주요 정보가 공유될 전망이다.
‘2024 배터리코리아’에서는 국내외 배터리 관련 기관 및 기업이 참여해 23개의 전문 강연과 부스 전시를 선보인다. 배터리 소재·부품·장비를 비롯해 자동화 솔루션, 사용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배터리 시스템(BMS), 에너지저장장치(ESS) 등 다양한 부문의 전시가 이뤄질 예정이며, 배터리 산업 시장전망을 비롯해 정책 분석, 신기술 소개, 투자 전략 제시 등 배터리 시장을 심도 있게 파악하고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강연이 펼쳐질 전망이다.
기조강연에서는 △블럭나인 손영환 대표 ‘배터리 순환 생태계 기술 방향성 : 저온건식 분리기술 및 광섬류 배터리 BSS 기술’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김미성 이차전지에너지연구소장 ‘전기자동차 화재 분석 및 화재진압기술’ △전북테크노파크 이광헌 이차전지사업단장 ‘전북특별자치도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생태계 구축전략’ △경북테크노파크 이영주 이차전지산업육성본부장 ‘전기차 사용후 핵심부품 순환이용 산업 생태계 활성화 전략’ △비에이에너지 신상준 상무이사 ‘LFP 배터리 산업의 시장 동향 : BESS 산업을 중심으로’ △울산테크노파크 김일환 정밀화학소재지원단장 ‘초연결시대의 핵심! 배터리로 통하는 신산업과 트렌드’ △부명 김철훈 대표 ‘EV 배터리의 안정성 향상을 위한 셀 단위 모니터링 기술의 중요성’ △바운드포 황인호 대표 ‘돈 버는 인공지능, 돈 버리는 인공지능’ 등의 강연이 펼쳐질 예정이다.

오후 강연은 3개의 트랙으로 나눠 진행된다. A트랙에서는 △블럭나인 최중선 연구소장 ‘FBG (Fiber Bragg Grating)을 활용한 배터리 정밀진단’ △전기안전공사 송길목 수석연구원 ‘한국형 K-BESS의 맞춤형 핵심 전략, 현재부터 미래까지’ △포스코경영연구원 박재범 수석연구원 ‘전기차 캐즘과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이차전지소재 산업의 변화와 향후 전망 및 대응 과제’ △경북테크노파크 이영주 이차전지산업육성본부장 ‘경북포항 이차전지 특화단지 육성 전략’ △iM증권 정원석 부서장 ‘K-배터리 성장통, 탈출구는 기술 차별화’ 강연이 펼쳐진다.
B트랙에서는 △부명 김철훈 대표 ‘배터리 팩 레벨에서 와이어 하네스 없이 셀 단위 모니터링이 가능한 데이터 획득 기술’ △비에이에너지 박태준 이사 ‘LFP 배터리 저장장치 시장의 성장과 기회 및 안전관리 기술 방향성’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이근형 센터장 ‘EV 배터리 전주기 평가 및 지하주차장 전기차 화재 예방 기술’ △유진테크놀로지 이계남 전무이사 ‘K글로벌 경쟁력 강화위한 이차전지 생산설비 고도화 및 기술개발동향’ △한국산업기술시험원 김범종 센터장 ‘ESS/EV용 배터리 표준 동향’ 강연이 진행된다.
C트랙에서는 △바운드포 황인호 대표 ‘고품질 데이터 AI 기술을 활용한 생산성 향상과 비용절감을 위한 방안과 대책’ △이지마이닝 박정현 이사 ‘글로벌 배터리 리사이클 산업을 주도할 핵심기술과 전망’ △한국지질자원연구원 김병수 책임연구원 ‘전기자동차 폐리튬이온전지에서 블랙매스와 흑연을 분리·회수하기 위한 친환경 저온건식공정 기술’ △주한노르웨이대사관 정성윤 수석상무관 ‘노르웨이의 그린 배터리 이니셔티브’ △스탠다드에너지 이동영 CTO ‘ESS의 게임체인저, 바나듐이온배터리’로 강연이 이뤄진다.

2024 배터리코리아조직위 관계자는 “올해 3회째 개최되는 배터리코리아 컨퍼런스가 시장의 성장과 함께 많은 관심 속에 명실상부 국내 최고의 배터리 컨퍼런스로 자리매김하고 있다”며, “국내 배터리 제조 산업의 발전과 글로벌 경쟁력 향상을 지원하기 위해 신기술 개발, 시험·인증 동향, 투자 전략까지 다양한 지식 정보를 공유하고 네트워킹을 통한 활발한 비즈니스가 이뤄지는 장을 이루는 행사로 키워가겠다”고 전했다.
한편, 오는 10월 11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COEX) 1층 그랜드볼룸에서 개최되는 ‘BATTERY KOREA 2023: 이차전지 소재·부품·장비·리사이클링 컨퍼런스’는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울산테크노파크, 대구기계부품연구원, 경북테크노파크, 전남테크노파크, 전북테크노파크, 충남테크노파크, 충북테크노파크, 인포더, 인더스트리뉴스, INTV가 공동주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