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한화오션이 개발한 ‘스마트 선체 구조 건전성 모니터링 티어 3’가 미국 선급(ABS)로부터 개념 승인(AiP)을 획득했다고 21일 밝혔다.
이 기술은 선박과 해양 플랜트의 안전 상태를 실시간으로 진단할 수 있는 솔루션으로, 현재 존재하는 안전성 모니터링 시스템 중 가장 고도화된 단계다.
지난해 9월 한화오션은 ABS와 ‘해양 사업 관련 기술 협력 협약’을 체결하고 △디지털화 및 인공지능 △사이버 보안 운영 △지속 가능성 등 세 분야에서 기술 개발을 추진해 왔다. 이번에 승인을 획득한 시스템은 기술 협력 협약의 일환으로 개발됐다.
ABS는 한화오션이 개발한 선체 구조 모니터링 시스템을 최고 기술 등급인 ‘티어 3’로 승인했다. 이 등급을 받으려면 선체에 가해지는 하중을 측정하는 센서가 없는 부위까지도 안전성을 평가할 수 있어야 하는데, 데이터 융합과 분석을 통해 센서가 부착되지 않은 부위의 구조 건전성까지 평가할 수 있는 기술을 확보해 획득할 수 있었다고 한화오션 측은 설명했다.
회사 측은 “선박과 해양 플랜트에 정기 검사의 형태로 적용되던 보수적인 안전 평가 기준을 완화해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것”으로 기대하며 “적기에 유지보수를 실시해 예상치 못한 운항 중단을 최소화하고, 선박 수명 연장 및 안전성 확보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한화오션은 선체 구조 모니터링 기술을 오는 2026년경 실제 해양 플랜트에 탑재하는 것을 목표로 추가 연구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손영창 한화오션 제품전략기술원장(부사장)은 “최근 선주들이 디지털 기술을 계약 조건으로 포함하는 추세이고 선급도 디지털화 관련 규정을 정비 중”이라며 “이번 개념 승인을 기반으로 해운업계의 스마트·디지털 기술 수요에 적극 대응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