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모리 가격 상승세에 2분기 실적 기대감…'트럼프 관세' 후유증 여전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삼성전자가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 S25’ 시리즈 판매 호조에 힘입어 올해 1분기 시장 전망을 크게 웃도는 실적을 올렸다.
삼성전자는 연결 기준 올해 1분기 영업이익이 지난해 동기보다 0.15% 감소한 6조6000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8일 공시했다.
같은 기간 매출은 9.84% 증가한 79조원을 기록했다. 이는 1분기 기준 사상 최대 매출로, 분기 기준 역대 최대인 작년 3분기(79조1000억원)에 이은 역대 2번째 분기 매출이다.
당초 시장에서는 1분기 영업이익이 5조원을 밑돌 것이라는 우려가 제기됐으나 갤럭시 S25 모델의 판매 호조와 D램 출하량 선방 등으로 시장 기대를 크게 뛰어넘는 실적을 거둔 것으로 보인다. 갤럭시 S25는 지난 2월 출시 이후 ‘갤럭시’ 시리즈 중 최단기간 만에 국내 판매 100만대를 돌파한 바 있다.
이에 따라 지난해 2분기 10조4439억원의 영업이익을 달성한 이후 3분기 9조1834억원, 4분기 6조4927억원을 기록하며 2개 분기 연속 역성장했던 영업이익도 3분기 만에 소폭 반등에 성공했다.
증권가에서는 향후 반도체 전망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잇달아 내놓고 있다. 김동원 KB증권 본부장은 “2분기부터 메모리 상승 사이클 진입에 따른 수급 개선과 가격 상승이 기대된다”며 “분기 실적은 1분기를 저점으로 4분기까지 증익 추세가 지속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한동희 SK증권 연구원은 “2분기에 실적 저점 통과 국면에 진입할 것”이라며 “갤럭시 S25 출시 효과 희석과 비수기 및 경쟁 강도 심화에 따른 디스플레이의 부진은 불가피하나 메모리 출하 반등과 DDR5 고정가격 상승, 낸드 일부 제품의 가격 인상 시작에 따른 메모리 이익 반등으로 방어가 가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다만 이러한 긍정적인 전망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관세 정책 등 미국발(發) 변수를 들어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다는 분석도 나온다.
류영호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반도체 관세는 미국에도 불리해 협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면서 “반도체 업체들의 직접적인 영향은 제한적이나 간접적인 영향까지 고려한다면 예측이 어려운 상황”이라고 진단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