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 좋은 일자리 못만드는 산업단지… 노후화 대수술 시급
  • 최정훈 기자
  • 승인 2021.10.28 08: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년 매료시킬 실질적인 정책지원 방안 요망

[인더스트리뉴스 최정훈 기자] 최근 코로나 회복세가 짙어지면서 국내 제조업의 심장 산업단지의 박동수가 빨라진 모양새다. 하지만 현장을 들여다보면 인프라·종사자는 늙어 가고, 일자리는 줄어들어 경제 대들보라는 타이틀이 무색해 졌다. 탄소중립·스마트제조 등 풀어야할 과제도 산적한 상황에서 청년들을 끌어들여 노후 산업단지에 활력을 불러일으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1969년 울산공업지구 지정 이후 현재 전국적으로 1,200개가 넘는 산업단지가 분포하고 있다. 산업 기반이 미흡했던 지역에 산업화를 견인하는 역할을 함으로써, 동남권을 중심으로 산업단지 개발이 이뤄졌다. 1980년 이후 호남권과 충청권에서 개발이 확대돼 지역 산업화의 불을 댕겼다.

정부는 국내 산업단지 활력 제고를 위해 중앙부처 지방정부공공기관 기업이 지역주도의 혁신계획에 따라 산업단지 대개조 및 스마트그린산단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사진은 부산 강서구 녹산공단 전경 [사진=utoimage]
정부는 국내 산업단지 활력 제고를 위해 중앙부처 지방정부공공기관 기업이 지역주도의 혁신계획에 따라 산업단지 대개조 및 스마트그린산단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사진은 부산 강서구 녹산공단 전경 [사진=utoimage]

각종 지표를 놓고 보면 산업단지는 제조업의 심장다운 역할을 여실히 수행했다고 볼 수 있다.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산업단지가 우리나라 제조업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985년 사업체수의 14.8%, 종사자수의 30.3%, 생산액의 39.7%로 집계됐는데 2015년 기준 사업체수의 34.6%, 종사자수의 50.3%, 생산액 70%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이 아닌 지역으로 갈수록 고용과 생산액에 일조하는 수준은 더 높았다.

최근에도 괜찮은 성적을 내고 있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가 ‘국가산업단지 산업동향 조사’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1년 상반기 국가산단의 생산‧수출은 코로나19 이전보다 증가해 V자 회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기간 국가산단의 생산액은 258조원으로, 코로나19 발생 이전인 2019년 상반기 대비 16조원(6.6%) 증가한 수치였다. 수출액 또한 2019년 상반기 대비 83억 달러(10.7%) 증가한 860억4,000만 달러를 기록했다. 가동률 또한, 2020년 2분기 72.3%로 최저점을 기록한 이후 빠르게 회복해 2021년 2분기에는 2017년 1분기 이후 가장 높은 82.2%를 기록했다. 전경련은 코로나로 주저앉았던 석유화학, 기계 업종이 기지개를 켰기 때문인 것으로 봤다. 

청년 니즈 충족시켜야

이처럼 코로나 악재가 가시고 호황의 온기가 움트기 시작했지만 일자리 창출 면에서는 소강국면에 접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전경련 조사에서 고용은 2만 7,000명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전기전자(16,169명)‧운송장비(5,489명)‧기계(4,685명)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일자리 창출도 미진해진데다, 안전사고 진앙지라는 오명을 쓰게 생겼다. 송갑석 의원실이 산업단지공단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5년부터 올해 8월까지 울산‧여수를 포함한 공단 관할 산업단지 63곳에서 사망사고·1억 이상 재산 피해·누출사고 기준 190건의 안전사고와 268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밝혀졌다. 재산피해는 750억원에 달했다.

그중 30년 이상 노후 산단은 24곳으로 전체의 38%였지만, 사고 건수는 183건으로 전체의 96%, 인명피해는 259명으로 전체의 97%에 달했다. 노후 산단 중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한 곳은 울산산단으로 총 44건이었으며, 여수산단 24건, 남동산단 18건, 구미산단 17건, 반월‧시화산단이 각각 15건과 13건 등이었다.

이번 2021 산단대개조 컨퍼런스에서는 청년 유입 대책 모색을 위해 공공기관, 민간업체가 머리를 맞대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번 2021 산단대개조 컨퍼런스에서는 청년 유입 대책 모색을 위해 공공기관, 민간업체가 머리를 맞대는 자리가 마련됐다.

이런 상황에서 위험시설 상시 모니터링이 강화돼야 한다고 지적이다. 하지만 산업단지 노후화가 심각해 땜질식 처방으로는 해마다 되풀이 되는 산단 안전사고 악순환을 끊기 어려워 보인다. 산업단지공단 관할 전체 산단 중 조성 50년이 경과한 산단은 울산산단과 여수산단 등 6곳, 40년 경과는 구미산단과 안산산단 등 6곳, 30년 경과는 남동산단과 반월산단 등 12곳으로 전체 산단의 38%가 조성 30년이 넘은 노후 산단에 속했다.

전문가들은 청년들이 산업단지를 되살리는 불씨역할을 할 수 있다고 청년들에게서 시선을 떼지 않고 있다. 정부는 국내 산업단지 활력 제고를 위해 중앙부처 지방정부공공기관 기업이 지역주도의 혁신계획에 따라 산업단지 대개조 및 스마트그린산단 사업을 추진 중에 있다. 여기에도 청년을 위시로 한 인재 육성 및 정주 여건 조성이 포함돼 있다.

청년을 끌어들이기 위해서는 임금 뿐 아니라 문화, 복지 부분도 강화을 청년들의 눈길을 잡아야 하는데 결국 도시와의 연계성이 관건이다. 국토연구원은 산업단지 개발 50년 자료를 통해 노후 산업단지 재생 활성화를 위해 재생사업의 경제성 확보를 위한 다양한 사업방식의 발굴과 국공 기관나 대학캠퍼스를 활용한 부지 확보 및 기업수요에 부합하는 새로운 지원기준 도입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아울러 기존 주력산업과 뿌리산업들을 위한 산업단지 신규 개발은 종사자를 위한 산업단지 정주환경 확충에 중점을 두고 정책 추진이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토연구원 관계자는 “우수한 인재들이 일하고 싶어 하며 교류, 협력 할 수 있는 환경 조성이 중요하다. 창업기업 및 성장기업의 수요에 부합하는 입지 제공을 위해 도시 내 기성 시가지나 대학캠퍼스 등을 활용한 소규모 복합단지 개발을 추진하는 것이 하나의 해결책이 될 수 있다”고 언급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