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北, 2016년 이후 탈취 가상자산 6조원대… 정권유지 자금 조달 목적”

[인더스트리뉴스 한원석 기자]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에 파병된 북한군 가운데 600명이 사망하는 등 모두 4700여명이 죽거나 다친 것으로 파악됐다.
국회 정보위원회는 30일 오전 국회에서 국가정보원을 상대로 비공개 간담회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이성권 국민의힘 의원·김병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이날 간담회 후 기자들에게 “사망자 중 상당수는 현지에서 화장된 다음 본국으로 이송됐고, 부상자 가운데 2000여명은 올해 1~3월 항공기와 열차 편으로 북한으로 송환돼 평양 등지에서 격리 수용 중으로 확인된다”고 말했다.
그들은 이어 “파병 장기화로 북한군 내부에서 과음·절도 일탈 행위가 보고된다고 한다”면서 “현재 가시적인 3차 파병 움직임은 없지만 북한이 과거 추가 지원을 시사한 데다, 특수전 병력의 훈련이 강화돼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고 했다.
우크라이나가 생포한 북한군 포로 송환 문제와 관련해, 송환 관련 구체적인 논의나 협상이 있었다는 보고는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은 러시아로부터 금속과 항공, 에너지, 관광 등 14개 부분에서 산업 현대화를 논의 중으로, 북한 노동자 1만5000명이 러시아로 송출된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파병 및 무기 수출 대가로 러시아로부터 군사적으로는 정찰위성과 발사체 기술 자문, 무인기 실물, 전자전 장비, SA-22 지대공 미사일 등을 제공받은 것으로 국정원은 파악했다.
북한의 사이버 위협도 거론됐다. 북한은 방산 첨단기술 해킹에 주력하면서 비 군사 분야로도 공격 범위를 넓히고 있다. 실제로 보건·의료 분야에서 발생한 북한의 해킹은 올해 1분기 14건으로 작년 1분기(2건)보다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대량살상무기(WMD) 개발, 핵실험 준비 등 무력 도발과 정권유지 자금 조달을 위해 국제제재를 우회할 수 있는 핵심 자금줄인 가상자산 탈취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는 분석이다.
국정원은 북한이 2016년 이후 전 세계를 대상으로 탈취한 가상자산은 총 43억달러(약 6조1000억원) 가량 인 것으로 추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