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ㆍ지자체, 적극적인 클라우드 도입 요구 높아졌다
  • 전시현 기자
  • 승인 2017.12.07 14: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책현장에서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를 공유하고 국민, 기업, 정부 등 다양한 참여자 간의 공감대를 형성해 정책방안을 만들어 나가는 현장소통의 시간이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진행됐다.

공공분야, 클라우드 서비스로 혁신해야

[Industry News 전시현 기자] 4차 산업혁명 시대의 변화를 공유하고 다양한 참여자 간의 공감대를 형성해 나가는 현장소통의 시간이 진행됐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는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3번째 4차 공감의 시간을 통해 ‘공공부문 클라우드 도입 활성화 방안’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4차 공감’은 2015년 클라우드컴퓨팅법 제정과 함께 정부에서 지속적으로 공공부문의 선제적인 민간 클라우드 도입을 촉구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장에서 느끼는 속도는 여전히 더딘 것으로 나타나 이에 대한 원인과 대안을 심도 깊게 논의하기 위해 마련됐다.

공공부문 클라우드 활성화를 위한 4차 공감회의를 주재하는 김용수 2차관[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공공부문 클라우드 활성화를 위한 4차 공감회의를 주재하는 김용수 2차관[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4차 공감 주 내용에는 참석자들로부터 정부가 법과 기본계획을 통해 공공기관들이 민간 클라우드를 우선적으로 활용토록 하고 있으나, 클라우드 도입에 따른 인센티브가 없고, 이용절차가 까다롭다는 의견이 많았다.

특히, 현행 이용 가이드라인 적용 시 실제로 민간 클라우드를 이용 할 수 있는 공공기관의 정보자원은 극히 제한된 수준이라고 하였다. 또한, 실제로는 각 지자체에서 지역축제, 주민센터, 평생교육센터, 시설 공단(주차 등), 공원관리, 관광안내 등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 시 편리한 공공서비스가 많음에도 불구하고, 지자체를 위한 민간 클라우드 이용 가이드라인이나 규정이 마련되지 않아 제약이 있다고 하였다.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 상에 저장된 자료들은 간단한 조작 및 클릭으로 쉽게 공유하고 전달할 수 있다.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증요건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이중방화벽을 두고 중요정보시스템을 재분리하여 실시간 침해사고 모니터링과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시스템 대비해 더욱 안전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사진=pixabay]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인터넷 상에 저장된 자료들은 간단한 조작 및 클릭으로 쉽게 공유하고 전달할 수 있다. 공공기관에서 제공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인증요건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고 이중방화벽을 두고 중요정보시스템을 재분리하여 실시간 침해사고 모니터링과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시스템 대비해 더욱 안전하다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사진=pixabay]

한편, 공공기관들은 민간 클라우드 이용 절차가 다소 복잡하고, 클라우드 이용료 지불을 위한 예산항목 및 집행방법 등의 문제가 있어 기존의 장비나 물품계약 방식과 다른 클라우드서비스(이용한 만큼 요금지불)에 맞는 유통체계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KT 이선우 기업서비스본부장은 “공공에 제공하는 클라우드서비스는 정부(한국인터넷진흥원) 인증요건에 따라 물리적으로 분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이중방화벽을 두고 중요정보시스템을 재분리하여 실시간 침해사고 모니터링과 대응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반 시스템 대비 더욱 안전하다”라고 강조했다.

레거시 대비 민간 클라우드 이용 환경 비교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레거시 대비 민간 클라우드 이용 환경 비교 [사진=과학기술정보통신부]

네이버비즈니스플랫폼(NBP) 박원기 대표는 “대국민 서비스로 연결 되는 공공 클라우드는 보안과 안정성, 유연성이 중요하며, 공공 클라우드 도입을 활성화하기 위해 클라우드 기업은 이러한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 공공기관 입장에서는 공공 데이터에 첨단 기술을 빠르게 접목 시켜 새로운 서비스를 만들어낼 수 있도록 개방형 구조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라고 밝혔다.

송정희 한양대 특훈 교수는 “이전의 관행을 깨고 파괴적 혁신을 한다는 생각으로 클라우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정부는 공공 데이터가 지능정보사회*의 핵심 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클라우드 기반의 개방형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야 한다.”라고 밝혔다.

한편 과기정통부 김용수 2차관은 “내년 클라우드 활성화 추진 방안을 마련하는 등 현장의 목소리를 충분히 고려한 실효성 있는 클라우드 정책을 추진하겠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