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산업혁명·저출산 고령화 시대에 맞춰 개편
[Industry News 전시현 기자] 4차 산업혁명에 맞춰 '연구직 및 공학기술직'이 고용직업분류에 신설됐으며, 저출산·고령화에 대비해 보건·의료직은 중분류에서 대분류 항목으로 승격됐다.
고용노동부는 일자리 정보 활용과 연계를 위한 기준 분류 체계인 '한국고용직업분류(KECO) 2018'을 개정·고시하고 내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고 25일 밝혔다.
![한국고용직업분류가 11년만에 저출산·고령화 등에 따른 수요확대와 직능유형을 고려해 '보건·의료직'도 대분류 항목으로 개정됐다. [사진=pixarbay]](/news/photo/201712/20696_10645_3122.jpg)
미국직업분류(SOC)를 모델로 개발된 한국고용직업분류는 취업알선 서비스, 노동력 수급 통계 작성 등에 사용되며 국가직무능력표준(NCS)을 개발하는 기초가 된다. 2002년 제정된 이후 2003년과 2005, 2007년에 3차례 개정됐다.
이번 개편은 11년 만으로, 4차산업혁명과 고령화 등 노동시장 변화를 반영한 것이다. 내년 직업분류는 대분류 10개, 중분류 35개, 소분류 136개, 세분류 450개로 나뉜다.
우선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해 정보화기반기술 융·복합, 신산업·신기술 연구·개발 등 '연구직 및 공학기술직'을 대분류 항목으로 신설했다. 저출산·고령화 등에 따른 수요확대와 직능유형을 고려해 '보건·의료직'도 대분류 항목으로 변경했다.
중분류 기준은 노동시장의 수요가 증가하는 부문을 신설 또는 분할했다. 이에 따라 인문·사회과학연구직, 자연·생명과학연구직 등 '연구직 및 공학기술직' 5개 직업이 중분류에 새로 포함됐고, 육아도우미, 간병인 등 '돌봄 서비스직'이 신설됐다.
'미용·숙박·여행·오락·스포츠 관련직'은 '미용·예식서비스직', '여행·숙박·오락서비스직', '스포츠·레크리에이션직'으로 분할됐다.
세분류 항목은 '데이터 전문가', '반려동물 미용 및 관리 종사원', '공연·영화 및 음반 기획자', '요양보호사 및 간병인' 등 최근의 직업구조 변화를 반영해 신설 또는 개정했다.
권혁태 고용서비스정책관은 “고용서비스 현장에서 더 쉽고 편리하게 분류체계를 활용하도록 교육・홍보 강화, 검색도구 개발 등 꾸준히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