풍부한 일조량 활용한 ‘Vision 2030’ 정책으로 태양광 키우는 터키
  • 이건오 기자
  • 승인 2018.12.05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인구 증가와 경제성장은 에너지 소비량과 비례한다. 더불어 대기오염과 기후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터키도 마찬가지로 인구 증가 및 경제성장으로 에너지 사용량이 급증했고, 일부 도시지역 및 산업단지는 심각한 오염 상태에 이르고 있다. 이에 터키 정부도 대응 정책을 발표하고 심각한 에너지 문제와 대기오염 해결에 나섰다.

2017년 기준, 3.1GW 태양광발전 설비 설치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터키는 ‘Vision 2030’ 정책을 발표하고 2023년까지 총 전력의 30%를 신재생에너지로 대체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목표 달성을 위해 53%에서 최대 625%의 신재생에너지 용량 증대가 이뤄져야 한다.

[]
터키는 2017년 기준, 3.1GW 태양광발전 설비를 설치했다. [사진=dreamstime]

프로스트앤설리번은 2017년 기준, 터키 내 태양광발전 설비 용량은 전체 유럽 설비용량 8.6GW의 약 26.7%를 차지하는 총 3.1GW로, 이 중 70%를 상회하는 2.3GW의 설비가 2017년도 설치됐다고 발표했다.

최근 코트라에서 보고된 자료에 따르면, 태양광 시장의 연 매출액은 총 25억달러를 기록해 전년 대비 약 280% 성장했고, 2017년도는 대형 프로젝트 시행 등으로 이례적인 성장을 기록한 점을 감안했을 때 향후 시장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나 2018년 이후에도 연 설치용량 500MW 이상의 성장을 이어나갈 것으로 예상했다.

터키 정부는 국토 70% 이상의 일조량이 연간 1.7MWh/m2 이상인 풍부한 일조량을 적극 활용해 태양광발전 육성정책을 추진 중에 있다. 중장기 국가개발정책 ‘Vision 2030’을 통해 2023년까지 70억달러의 투자를 통해 태양광발전 시설 용량을 10GW까지 확대 추진 중이다. 터키 내 태양광 발전시장은 설비 용량에 따라 비라이선스 시장, 라이선스 시장, 메가 프로젝트로 구분되며, 2017년 기준 비라이선스 시장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터키 정부는 태양광 발전 육성을 위해 FIT 제도를 운영 중이며, 비라이선스 시장 기준 FIT 가격은 13.3센트/kWh 수준으로, 인근 불가리아 약 14센트/kWh, 슬로바키아 약 10센트/kWh 등 FIT 제도 운영 국가와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수준이다.

2016년까지는 중국 제품이 시장의 약 75% 이상을 점유 중이었으나 2017년 중국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이후, 중국 제품은 수입이 급감하고 동남아 제품이 급격히 유입되고 있다. 한국 제품의 수입액은 중국 제품에 대한 반덤핑 관세 부과 이후 수입이 급증해 2017년 기준 6,042만달러를 기록했다. 2017년 중반 기준, 터키 내 태양광 패널시장은 중국업체가 주도하고 있으며 한국의 한화큐셀이 설치량 기준 5위를 기록 중이다.

[]
터키 내 지역별 연간 일조량 현황 [자료=터키 투자청(ISPAT)]

비라이선스 시장을 타깃으로 하는 태양광 발전장비는 현지 전문 유통업체를 통해 최종 소비자를 대상으로 판매되고 있고, 라이선스시장 및 메가프로젝트는 태양광 패널 제조업체가 현지 건설사 등과 합작을 통해 정부 입찰에 참여하고 직접 시공 후 발전소 운영을 통해 수익을 창출하고 있다.

코트라 홍태화 터키 이스탄불무역관은 “터키는 중장기 국가개발정책 ‘Vision 2030’을 통해 2023년까지 70억달러의 투자를 통해 태양광발전 시설 용량을 10GW까지 확대 추진 중으로 2017년에만 2.3GW의 설비가 설치됐다”며, “가정용 소규모 태양광발전 설비 위주의 터키 태양광발전 시장은 향후 메가프로젝트 위주로 성장이 예상된다”고 전했다.

이어 “2020년 완공 예정인 한화큐셀 컨소시엄이 추진 사업 1GW 급 YEKA 프로젝트 외 추가 메가프로젝트가 발주 계획에 있어 향후 터키 태양광 발전 시장은 대형 프로젝트가 주도할 것”으로 예상했다.

태양광 업계 관계자는 “터키 내에서 진행되는 태양광 프로젝트 대부분은 국산 기자재를 일정 비율 이상 사용토록 강제하는 로컬 콘텐츠 규정을 운영 중”이라며, “프로젝트 참가를 희망하는 업체는 터키 내에서 자체적으로 태양광 기자재 조달이 거의 불가한 점을 감안해 현지 공장 설립을 반드시 검토해야 한다”고 메가프로젝트 사업 참여에 대해 조언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