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한국경제연구원은 올해 1월 원재료수입물가가 59% 급등하면서, 생산자물가가 7.9%p 만큼 상승압력을 받았다고 밝혔다. 아울러 우크라이나 사태, 글로벌 공급망 훼손 등으로 당분간 국제원재료 가격의 고공행진이 지속될 수 있어 유류세 인하기간을 연장하고, 국제원재료의 원활한 조달을 지원해야한다고 제안했다.
![월별 원재료 수입물가 상승률 추이 [자료=한경연]](/news/photo/202202/45306_45951_3830.png)
최근 원유‧천연가스 가격 주도로 원재료수입물가 급등
올해 1월 중 원재료수입물가는 59% 급등했다. 최근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고조에 따른 원유 및 천연가스 수입물가의 급등이 원재료수입물가의 상승을 주도했다.
실제로 올해 1월 중 유종별 국제원유가격 상승률은 현물가격 기준으로 WTI 68.9%, 브렌트유 65.8%, 두바이유 61.3%로 나타났다.
올해 1월 생산자물가 상승압력 7.9%p
한경연은 올해 1월 원재료수입물가 59% 상승에 따른 생산물가 상승압력은 7.9%p라고 밝혔다. 2010년 이후 분기별 자료를 이용해 추정한 원재료 수입물가 1% 상승에 따른 생산자물가 상승폭이 0.13%p로 나타난 결과다.
![2022년 1월 원재료수입물가 상승에 따른 생산자물가 상승압력 [자료=한경연]](/news/photo/202202/45306_45952_4145.png)
지난해 12월 중 생산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9% 상승했다. 부문별로는 상품의 기여도가 7.9%, 서비스가 1.1%였다. 상품의 구성산업별 기여도는 원재료 수입물가 상승의 영향을 크게 받는 공산품이 7%로 가장 높았다.
공산품 구성 업종별 기여도는 제1차 금속이 2%로 가장 컸고, 이어서 석탄 및 석유제품 1.5%, 화학제품 1.4% 등의 순이었다.
![지난해 12월 공산품 구성 업종별 생산자물가 상승 기여도 [자료=한경연]](/news/photo/202202/45306_45954_4214.png)
한경연 추광호 경제정책실장은 “최근 원유‧천연가스 등 국제원재료가격의 고공행진으로 당분간 생산자물가의 상승세는 지속질 것으로 보인다”며, “생산자물가는 국제원재료가격의 변동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만큼, 올 4월까지로 한정된 유류세 인하조치를 연장하고 국제원재료의 원활한 조달을 위한 지원노력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