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출 증가율, 지난해보다 크게 둔화”
  • 권선형 기자
  • 승인 2022.01.03 11:4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경제연구원, ‘2022년 대기업 수출 전망 조사’, 원자재 등 물가안정, 미중‧한일갈등 등 외교현안 대처 시급

[인더스트리뉴스 권선형 기자] 지난해 급증세를 기록하며 한국 경제의 버팀목이 됐던 수출이 올해에는 증가율이 크게 둔화될 것이란 전망이 제기됐다.

한국경제연구원(원장 권태신)이 시장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반도체, 일반기계, 자동차, 석유화학, 철강, 석유제품 등 12대 수출 주력 업종을 영위하는 매출액 1,000대 기업들을 대상(150개사 응답)으로 ‘2022년 수출 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올해 수출은 작년 대비 3.2%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

2022년 업종별 평균 수출 증감률 [자료=한경연]
2022년 업종별 평균 수출 증감률 [자료=한경연]

올해 수출 증가율 3.2% 전망

올해 수출 증가율 전망치를 업종별로 살펴보면, 일반기계‧선박 8.1%, 전기전자 5.4%, 바이오헬스 2.2%, 철강 2.1%, 석유화학‧제품 1.7%, 자동차‧부품 1.1% 등이었다.

기업 수 기준으로는 58.7%의 기업이 올해 수출이 작년 대비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고, 41.3%의 기업은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올해 수출이 작년보다 증가할 것으로 예상한 기업들의 대다수(73.2%)는 세계 경제 정상화 및 위드 코로나 전환에 따른 교역 활성화를 수출 증가 원인으로 지목했다. 이 외에도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수출 단가 증가(9.6%), 주요 경쟁국의 수출경쟁력 약화(5.6%), 원화 약세로 인한 가격 경쟁력 상승(4.0%), 정부의 수출 지원 정책 효과(3.5%) 등이 원인으로 꼽혔다.

반면 올해 수출이 작년 대비 감소할 것으로 전망한 기업들은 기업규제, 인건비 상승 등 국내 제도적 요인으로 인한 수출 경쟁력 악화(28.9%), 수출 대상국의 경제 상황 악화(27.6%), 미중갈등, 한일갈등 등 외교문제(16.4%), 글로벌 공급망 훼손에 따른 생산 차질(13.2%), 높은 작년 수출 실적으로 인한 역기저효과(16.4%) 등을 원인으로 지목했다.

수출 증가 이유(좌) 수출 감소 이유 [자료=한경연]
수출 증가 이유(좌) 수출 감소 이유 [자료=한경연]

수출 채산성 악화 29.3%

과반(52.7%)의 기업들은 올해 수출 채산성이 작년과 비슷한 수준일 것으로 전망했으나, 수출 채산성이 악화될 것으로 응답한 기업(29.3%)이 개선될 것으로 응답한 기업(18.0%)보다 많았다.

수출 채산성이 악화될 것으로 전망한 기업들은 원유, 광물 등 원자재 가격 상승(47.4%), 해운 운임 증가 등 물류비 상승(26.3%), 환율 변동성 상승(11.4%), 인건비 상승(6.1%), 금리 인상 등으로 인한 이자비용 상승(0.9%) 등을 부진 요인으로 지적했다.

수출 채산성 전망(좌) 수출 채산성 악화 요인 [자료=한경연]
수출 채산성 전망(좌) 수출 채산성 악화 요인 [자료=한경연]

수출 환경 리스크로 원자재 가격 상승, 코로나19 재확산

기업들은 올해 수출 환경의 위험 요인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36.4%), 코로나19 재확산(33.8%), 미중갈등, 한일갈등 등 외교 현안(13.5%), 원/달러 환율 변동성 확대(5.1%), 보호무역주의 확대(3.1%) 등을 꼽았다.

기업들은 원자재 등 물가 안정에 대한 정부 정책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기업들은 국내 기업의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서는 원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55.1%), 미중갈등, 한일갈등 등 외교 현안 대처(15.8%), 금융지원, 세제지원 확대(10.7%), 신흥시장 발굴, 수출처 다변화 지원(8.7%) 등의 정부 정책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수출 환경 리스크(좌)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자료=한경연]
수출 환경 리스크(좌) 수출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필요한 정책 [자료=한경연]

한경연 추광호 경제정책실장은 “올해에는 원자재 가격 상승, 글로벌 긴축에 따른 수입수요 위축, 코로나19 재확산, 미중갈등 등 우리 기업들의 수출환경이 우호적이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라며, “원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과 외교 현안 대처에 힘쓰고, 규제‧세제 정비 등 제도적 요인을 개선해 우리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을 향상시켜야 한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