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로 기후변화 대응, 핵심부품 국산화 안되면 공염불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8.06.09 11: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수소차 육성과 보급 확대에 대한 지원방향을 정했다. 세계 최초로 양산된 국내 수소차 기술이 세계와의 경쟁에서 조금씩 밀리는 수준에 이르고 나서야 마련됐다는 점에서 아쉬움이 따른다는 지적이다.

원천기술과 국산화 통한 가격경쟁력 확보 관건

[인더스트리뉴스 박관희 기자] 정부는 도시의 미세먼지 해결과 기후온난화를 막고자 현재 보급 수준 등을 고려해 전기차는 중단거리 승용을, 수소차는 대형버스 위주로 보급하는 친환경차 보급 계획을 마련했다. 보급 확대에 열쇠가 될 수소 충전소 설치·운영을 위한 전담 민간 SPC가 연내 설립되고, 핵심 부품의 국산화를 이뤄 차량 가격은 현재보다 30% 낮추겠다는 복안이다.

현대자동차의 수소차인 넥쏘 [사진=현대자동차]
현대자동차의 수소차인 넥쏘 [사진=현대자동차]

지난해까지 누적 177대에 불과한 수소차 보급이 2022년 1만5,000대로 확대되고, 같은 기간 수소버스는 1,000대가 보급된다. 내연 차량과의 가격차이 등 구입에 따른 부담도 완화된다. 차액에 대한 구매보조금이 국비와 지방비를 더하면 많게는 3,500만원까지 지원된다. 올해 추경예산 112억원 역시 수소차 보급을 위해 지역별 안배에 따라 집행된다.

정부는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1차 혁신성장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전기·수소차 보급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을 심의 의결했다. 정부는 2022년까지 전기차 35만대, 수소차는 승용과 버스 등 1만6,000대를 보급키로 하고, 전기차는 2022년까지, 수소차는 양산체계가 구축되는 시점까지 보조금이 유지된다.

이번 계획 발표를 두고 업계에서는 초기 시장형성을 지원하는 정책 수준에 머물러 있던 과거 보급 확대 정책의 연장선일 뿐 새로울 것은 없다는 반응이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완성차 업체들의 시장 진출이 본격화된 친환경차 자동차 산업의 활성화는 결국 ‘보조금 외에 다른 대안은 없었다’는 사실을 재확인 시켜준 결과이다”면서 “현재 현대차의 수소차인 넥쏘가 7,000만 원대인데 보조금이 지급되더라도 5,000만원 수준이라 공공기관 외에 수요가 있을지 장담할 수 없다”고 전망했다. 현재 인프라 수준에서는 보조금 규모가 매력적이지 않다는 지적이다.

지난 2013년 현대자동차가 세계최초로 상용화한 수소차 투싼ix에 대한 보급이 실패하고 기술발전과 투자에 적극적이지 못했던 아쉬움도 제기됐다. 친환경차 업계 관계자는 “세계 최초의 양산 사례였는데 현재는 토요타 미라이 등이 유명세를 떨치고 있는 시장이 됐다”면서 “퍼스트 무버가 추격자가 된 꼴인데 지금은 가격경쟁력이 확보되는 수준까지 보조금을 유지한다지만 그 시점과 정부 예산 집행은 언제나 그렇듯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8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1차 혁신성장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전기·수소차 보급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을 심의하고 의결했다.[사진=기획재정부]
8일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열린 ‘제1차 혁신성장 경제관계장관회의’에서 전기·수소차 보급 확산을 위한 정책 방향을 심의하고 의결했다.[사진=기획재정부]

수소 충전에 대한 문제도 있다. 정부 목표대로라면 2022년까지 310개소의 수소충전소가 구축되는 데 이보다 더 중요한 이슈는 이미 본지에서 수차례 문제제기를 했듯이 수소제조시설이 있는 곳에서는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에 수급할 수 있지만 이외 지역에서는 수소 가격이 고가에 형성되는 문제이다.

일례로 지역별 수소가격이 울산이 킬로그램당 5,500원인데 비해 창원은 1만원 수준이다. 4,500원의 차이이고, 1킬로그램에 육박하는 가격 차이가 나고 있는 것이다. 정부에서도 이점을 인지해 수소유통을 담당할 전담기관을 신설하고, 수소가격 안정화를 기한다는 점은 그나마 위안거리이다.

앞선 관계자는 “현재 국산화 비율이 95%대에 머물러 있는 스택의 순 국산화, 고가의 수입소재 원천기술 확보 문제 등의 제반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연 생산량 10만대는 공염불에 지나지 않는다”면서 “인프라와 보조금은 물론 기술개발에 대한 민간 차원의 적극적인 투자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