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팩토리 양적 확산과 고도화 통해 제조업 경쟁력 강화
  • 이건오 기자
  • 승인 2019.06.26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조혁신추진단 출범, 스마트팩토리 3만개 보급 위해 상시적 혁신 이뤄갈 것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대한민국 경제의 원동력은 단연 제조업이다. 그동안 고용과 혁신 창출의 역할을 해 왔으며 국부의 한 축을 담당해 왔다. 제조업은 GDP의 29.3%, 수출의 84.3%를 차지하고 있으며, 400만개의 민간 일자리가 집중된 산업이다.

우리의 제조 경쟁력은 세계 5위로 G7 국가 중 GDP 대비 제조업 비중이 유일하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다. 그동안 장시간의 노동으로 생산성을 상쇄하는 구조였으나 최저임금과 주 52시간 적용으로 중소기업은 생산성 및 유지 운영에 어려움을 토로하고 있다.

[]
우리 제조업은 로봇 보급률 세계 1위를 비롯해 5G 및 IoT로 대변되는 우수한 ICT 역량을 갖추고 있다. [사진=dreamstime]

이러한 상황에서 나온 대안이 ‘제조 혁신’이다. 우리보다 앞서 독일, 미국, 일본, 중국은 각국의 제조 환경에 맞춘 제조업 비전을 제시하며 혁신에 나서고 있다. 우리나라는 어떻게 해야할까? 지난 6월 20일 코엑스에서 열린 ‘2019 서울 국제 스마트팩토리 컨퍼런스 & 엑스포’에서 중소벤처기업부 박지환 사무관은 먼저 우리 산업의 강점을 소개했다.

박 사무관은 “우리는 세계 최고 수준에 있는 대기업의 경험과 기술력을 비롯해 많은 우수한 인재를 보유하고 있다”며, “로봇 보급률 세계 1위를 비롯해 5G 및 IoT로 대변되는 우수한 ICT 역량을 갖추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강점을 토대로 정부는 스마트공장 확대를 통해 제조 혁신을 이뤄가겠다는 정책을 펼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2022년 2만개에서 3만개 ‘스마트공장’ 확대 보급

2017년 11월 혁신성장 전략회의에서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2만개를 보급하겠다는 목표로 시작된 정부 정책은 현재 2022년 3만개의 스마트공장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8년 3월에 발표된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의 기조가 지금까지 이어져 오고 있는데 핵심은 상생형 모델 도입과 지역 중심 보급체계 구축이다.

상생형 모델 도입은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협력을 정부가 지원하는 내용으로 큰 호응을 얻어 민간 중심의 개방형 혁신이 이뤄지고 있으며, 지역 중심 보급 체계는 기존의 정부 및 전담 공공기관 등 중앙 중심의 수행 체계가 테크노파크, 지자체 등에서 스마트공장 수요를 발굴해 지원하는 내용이다.

지난해 12월 13일, 정부는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을 보고하며 스마트 제조혁신으로 중소기업 제조 강국을 실현하겠다는 비전의 4가지 추진 전략을 발표했다. 먼저, 중소제조업 50%를 스마트화하겠다는 계획으로 10인 이상 중소기업 약 6.7만개 중 3만개를 스마트공장으로 변화시키는 공장 혁신을 내세웠다. 이는 중소기업이 스마트공장 도입을 원한다면 정부가 지원하겠다는 의도를 담고 있다.

두 번째는 산단 혁신이다. 산업부가 중심이 돼 산단 안에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는 등 산단 전체를 혁신하겠다는 내용이다. 좀 더 범위를 키워 산단을 제조혁신의 거점으로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세 번째는 일터혁신으로 기존의 기계 중심이었던 공장을 사람 중심의 안전한 공장으로 만들어 일터 문화 개선에 나선다. 마지막 혁신기반은 이러한 3가지 혁신을 민간과 지역 중심으로 상시적 혁신을 해 나가겠다는 내용이다.

[]
중소벤처기업부 박지환 사무관은 "스마트공장 보급 및 고도화를 위해 공급기업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사진=인더스트리뉴스]

박 사무관은 “2022년 3만개 양적 목표도 있지만 3만개 스마트공장 중 연차적으로 25%를 고도화해 나가겠다”는 내용을 강조하며, “현재 일정 수준 이상 되는 스마트공장을 20% 정도로 파악하고 있는데 2022년까지 25% 이상으로 지원하겠다는 계획을 갖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지난해까지 신규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는 기업은 5,000만원까지 지원이 됐는데 올해 1억원으로 2배 상향해서 지원하고 있다”며, “정부지원을 받았든, 자체 구축을 했든, 기존의 스마트공장을 고도화하겠다는 기업은 1억원에서 1.5억원으로 지원 한도를 상향했다”고 설명했다.

스마트공장 보급 예산은 2017년 745억원이었으나 올해 3,428억원으로 대폭 확대됐다. 박 사무관은 내년에는 예산이 좀 더 늘어나게 될 것이라고 예상하며 “정부 지원금만으로 스마트공장 구축이 어렵다는 것을 너무나 잘 알고 있어 금융 지원 확대도 추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전체 2조원의 융자 자금이 산업은행, 기업은행을 통해 운영되고 있고,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에 보증료 인하 등을 지원하고 있다”며, “상생형 모델 확산을 위해 스마트 마이스터, 동반성장 평가 개선 등도 추진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공급기업의 역량 강화 운영 전문인력 양성 과제

스마트공장 보급 및 고도화를 위해 무엇보다 공급기업의 역량이 중요하다고 언급한 박 사무관은 1조원의 중기부 R&D 중 20%를 연차별로 스마트공장 전용 R&D로 투자하겠다는 계획도 밝혔다. 더불어 해외에 진출하는 공급기업 솔루션에 해외인증 등을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뿐만 아니라 2022년까지 10만명 양성을 목표로 스마트공장을 운영할 수 있는 전문인력 양성도 추진한다. 2개에서 5개까지 확대하는 배움터에서 재직자 직무전환 교육 및 신규 교육을 진행할 예정이다.

지난 4월 정부는 과기부 중심의 5G 스마트공장 대책을 발표했다. 이 내용을 보면 기존 스마트공장 보급과 별개로 5G 팩토리 1,000개를 구축하겠다는 계획이다. 이에 더해 대·중소기업 협업 확산 후불형 모델이 적용되는데 이는 스마트공장 구축 시 드는 비용을 대기업이 내고 그 성과와 연계해 중소기업이 이후에 지불하는 형식이다.

또한, 5G 스마트공장 대책에는 5G 핵심서비스 실증·확산 전략도 포함돼 있다. 공장 간 연결을 비롯해 AR/VR을 공장에 구축하기 위해 실증 및 시범보급을 하겠다는 내용이고, 최근 이슈가 되는 보안도 문제가 되지 않도록 취약점 점검도 추진한다.

제조혁신추진단이 7월 1일자로 출범한다고 언급한 박 사무관은 “추진단 출범과 동시에 현재 진행되고 있는 테크노파크 사업과 테크노파크를 지원하고 있는 지방 중기청, 지자체, 대학, 산단공의 보급사업, R&D, 컨설팅 등이 상시적 혁신으로 3만개 스마트공장 확산을 이뤄나갈 것”이라고 전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