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공장 3개월 간 근무하면서 현장애로 즉석 해결
[인더스트리뉴스 이건오 기자] 중소벤처기업부(장관 박영선)는 이달 말부터 대기업 퇴직 전문가들을 직접 중소기업에 투입해 스마트공장 구축을 도울 예정이다. 이를 통해 중소기업 스마트공장 보급이 더욱 원활해지고 성과도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중기부는 지난 2월부터 전문가를 모집해 100명의 우수 경력자를 선발했으며, 이들을 스마트 마이스터로 임명하고 앞으로의 활동을 격려하기 위해 4월 11일 대한상공회의소 국제회의실에서 ‘스마트 마이스터 발대식’을 개최했다.
앞으로 이들은 스마트공장 구축기업에 3개월 간 근무하면서 현장애로를 즉석에서 해결하고, 월 1회는 각자 배정된 지역별 제조혁신센터에서 지역기업을 대상으로 교육 및 상담도 실시한다. 올해 기업지원 규모는 총 200개사로 스마트 마이스터 1인당 2개 기업을 지원한다.
이날 발대식에서는 스마트 마이스터들이 자부심과 사명감을 가지고 활동할 수 있도록 중기부 김학도 차관과 대한상공회의소 김준동 부회장이 스마트 마이스터 가슴에 직접 뱃지를 달아 주는 수여식을 진행했다. 이어 2018년 스마트 마이스터 시범운영 사업에 참여한 전문가, 삼성전자 멘토 등이 대기업 노하우 전수를 통해 기업의 생산현장을 개선시킨 우수사례 발표가 진행됐다.
이날 남태훈 마이스터는 수작업에 의존하고 있던 유한코아(경남 창원)에 종합생산효율관리, 금형이력관리, 설비보전관리 등을 적용한 스마트공장 추진전략 수립을 지원한 사례를 발표해 향후 스마트 마이스터 활동에 대한 모범을 보였다.
중기부 김학도 차관은 “스마트공장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중요한 사업”이라고 하면서, “그간 축적한 여러분들의 노하우와 지식을 아낌없이 전수해 중소기업이 스마트 제조혁신의 중심에 당당히 설수 있도록 해달라”고 당부했다.
- 중기부, 스마트공장 보급확산 위한 스마트랩 수행기관 2개소 선정
- 박영선 후보, 로봇기본법, 수소법 등 법안 발의 통해 4차산업 대비 초석 호평
- 중소·중견기업 수출 애로를 현장에서 해소한다
- 스마트공장 보급의 전초기지인 스마트 제조혁신센터 본격 가동
- 스마트공장으로 사람 중심의 일터문화 실현한다
- 중기부, ‘연구기관 협력네트워크’ 통한 중소기업 중심 경제 구현한다
- 제조업 활력 위해 ‘뿌리기업’ 등 산업전반 스마트제조혁신 확산 추진
- 삼성전자, 업계 최초 6,400만 화소 모바일 이미지센서 공개
- 중소벤처기업부의 '제조혁신 붐' 조성, 스마트공장 가속화 될까
-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개편 완료
- 스마트팩토리 양적 확산과 고도화 통해 제조업 경쟁력 강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