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처리수 잠재열, 지역 난방으로 활용한다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7.11.29 10: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에너지 절감기술이 중요해지면서, 열을 잡기 위한 기술들이 주목받고 있다. 지열을 이용한 발전이 아파트 건설에 적용되기 시작했고, 하수열 또한 난방 수단으로 활용되고 있다.

하수열로 1만5,000톤의 탄소 감축

[Industry News 박관희 기자] 가정이나 사업장에서 나오는 하수를 처리해 한강으로 방류되는 하수 처리수는 겨울에도 12°C 내외로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 처리수를 열교환기인 히트펌프를 통과시켜 열을 회수·압축 및 응축 지역난방에 필요한 55°C에서 80°C로 상승시킬 수 있다. 다시 이 온수를 집단에너지 열 공급시설을 거쳐 115°C로 상승시키면 지역에 난방열로 공급이 가능해진다.

하수열을 활용하기 위해 서남 하수열 이용 지역난방 공급시설을 준공한 서울시는  이를 통해 연간 2만4,0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지역난방열을 공급한다.
하수열을 활용하기 위해 서남 하수열 이용 지역난방 공급시설을 준공한 서울시는 이를 통해 연간 2만4,0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지역난방열을 공급한다.

서울시가 하수 처리수의 잠재열을 지역난방열로 바꿔 지역 가구에 공급한다. 이를 위해 ‘서남 하수열 이용 지역난방 공급시설’을 준공했다. 서남 하수열 이용 지역난방 공급시설은 그간 서남물재생센터에서 한강으로 방류되던 하수 처리수를 활용해 연 2만4,0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지역난방열을 공급한다.

지금까지 활용되지 않던 하수 처리수의 잠재열을 이용하는 사업은 도시에서 가능한 미활용 에너지원 발굴 정책의 일환으로 서울시가 추진한 것이다. 이는 지난 2014년 12월 개시해 연간 19만Gcal의 열을 공급하는 ‘탄천물재생센터 하수열 이용 지역난방 공급사업’에 이은 두 번째 사업이다.

서울시는 2015년 5월 서남그린에너지와 ‘서남물재생센터 하수열 이용 지역난방 공급사업 실시협약’을 체결하고 인근지역 주민설명회 등을 거쳐 2016년 4월 착공했고, 18개월간의 공사를 거쳐 준공에 이르렀다.

열 생산 주요 설비로는 시간당 8Gcal의 열을 생산할 수 있는 히트펌프 4대, 열 공급관, 전기실이 있으며, 시간당 최대 32Gcal의 열량을 생산 할 수 있다. 연간 약 2만4,000가구가 사용할 수 있는 15만Gcal의 열이 이곳에서 마곡지구 집단에너지 공급시설로 공급된다.

하수열 공급으로 열병합 보일러 가동에 필요한 화석연료(LNG)가 4,975TOE 줄어들게 되고, 온실가스 환산 시 1만5,527톤CO2가 줄어든다. 이는 약 11만 그루의 소나무를 심은 효과다. 마곡지구 집단에너지 공급시설을 운영하는 서울에너지공사는 LNG 연료비보다 싼 가격으로 하수열을 구매해 마곡지구에 경제적이고 친환경적인 지역난방 에너지를 공급하게 된다.

한편 서남물재생센터는 영등포, 관악, 동작, 구로, 양천, 금천, 강서구 등 7개구 전역과 강남, 서초구 일부 지역 및 광명시 전역에서 발생하는 하수를 일평균 약 200만톤 처리하는 하수처리시설이다.

황보연 서울시 기후환경본부장은 “하수열을 이용한 지역난방 공급사업은 미활용 에너지를 활용함으로써 화석연료를 대체해 연료비를 절감하고 온실가스 감축에도 크게 기여하는 좋은 사례다”라며, “서울시는 하수열 뿐 아니라 상수도 수열을 활용하는 등 미활용 온도차 에너지 개발․이용을 더욱 적극적으로 추진하겠다”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