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그리드패리티는 3020에 달렸다
  • 박관희 기자
  • 승인 2018.01.04 11: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청정에너지 보급을 목표로 하고 있는 문재인 정부는 지난해 12월 14일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과, 같은 달 20일에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차례로 발표했다. 두 가지 정책 모두 신재생에너지의 보급 확대와 에너지 전환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어 원별 발전비용 전망 등 경제적 접근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 하락은 계속된다

[Industry News 박관희 기자]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발표 후인 지난 12월 28일 개최된 균등화 발전비용(LCOE) 공개 토론회에서 발전원가에 대한 전문가들의 전망이 있었다. 이날 에너지 연구기관 등은 태양광 설비와 원전 설비 간의 발전단가가 이르면 2020년 역전된다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원전 등 화석에너지와 같아지는 시기는 3020 이행 계획과, 전력수급 계획의 목표 이행에 달려있다. [사진=dreamstime]
신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화석에너지 발전과 같아지는 시기는 3020 이행 계획과, 전력수급 계획의 목표 이행에 달려있다. [사진=dreamstime]

같은 날 있었던 8차전력수급 기본계획 공청회에서도 관련 논의가 있었다. 공청회에 자리했던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시작 전부터 파행이 예고됐지만 실제 공청회에서도 원전의 발전단가 역전 이슈 등이 제기되고, 원전 축소의 내용을 담은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기름을 부은 꼴이 됐다”면서 “원전과 신재생에너지 양 진영 참석자들이 한 공청회가 원전과 화력발전, 풍력 건설에 대한 찬반 논쟁으로 비화되면서 항의와 공방이 이어졌다”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LCOE는 빠른 속도로 하락 중
이처럼 태양광과 풍력 등 신재생에너지의 설비 이용률이 높아지면서 관련 균등화발전비용(LCOE : Levelized Cost of Electrity) 역시 빠른 속도로 하락하고 있고, 관련 정책에 우선 반영되고 있는 현실이다. 미국과 영국 등 주요 국가들은 균등화발전비용을 토대로 2022년 기준 발전원별 균등화발전비용에서도 신재생에너지 비용이 낮고, 원전이 가장 높은 순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발전비용은 발전하는데 소요되는 모든 비용을 말하고, 직접비용과 외부비용으로 구분한다. 균등화발전비용은 발전원간 투입되는 투자비와 운전유지비, 연료비 등의 직접비용의 비교를 위해 해당 발전기의 수명기간(lifetime of the project)동안 소요되는 총 비용을 총 발전량으로 균등하게 배분한 발전비용을 말한다.

미국 에너지정보청(US Energy Infoemation Agency)은 매년 모든 발전원의 건설비와 운영비, 송전비용을 추정해 5년 후의 발전원별 균등화발전비용을 산정해 발표하고 있다. 최근 전망자료에 따르면 2022년 기준 세금감면이 포함된 발전원별 균등화발전비용이 지열 비중이 가장 낮고, 풍력과 LNG복합화력, 그리고 수소와 태양광, 탄소포집이 설치된 LNG복합화력, 원전의 순으로 나타났다.

블룸버그, 한국은 2030년 지금보다 66% 하락할 것
주요 국내외 전문기관의 태양광 균등화발전원가 전망도 대동소이하다.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는 세계 가중평균 2015년 대비 2025년 59%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고, 블룸버그뉴에너지파이낸스 신에너지전망(BNEF NEO)은 우리나라의 경우 균등화발전원가가 2030년이 되면 2017년에 비해 66% 하락할 것으로 예측했다.

경제협력개발기구(이하 OECD) 산하 국제에너지구는(이하 IEA)는 2030년 41~50%, 국내 에너지경제연구소는 2016년 대비 2024년에 36%, 현대경제연구소는 2016년 대비 2030년 31% 하락할 것으로 각각 전망했다.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김병관 의원은 최근 “주요 국가별 풍력과 태양광의 균등화발전비용을 비교한 결과 한국은 현재 균등화발전비용이 투자비의 차이로 인해 주요국에 비해 높은 수준이고, 2022년경에 미국이, 2025년에는 영국이 전원간 발전원가가 역전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3020 이행계획이 차질 없이 진행된다면 주요국들과 비슷한 시기에 발전원가의 역전이 이뤄질 수 있다”고 밝혔다.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의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자료 : 산업부 재인용]

OECD 원전·석탄 줄고, 신규투자의 67%가 신재생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업부)는 지난 공청회를 끝으로 2017년부터 2031년까지 향후 15년간의 전력수급 전망과 전력설비 계획을 담은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확정했다.

큰 틀에서 원전과 석탄은 단계적으로 줄여나가고, 신재생에너지 중심으로 친환경에너지를 대폭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원전과 관련 신규 6기 건설이 백지화되고, 노후 10기의 수명연장 중단되며, 월성 1호기의 공급제외 등이 추진된다. 한편, 2030년 태양광과 풍력을 중심으로 58.5GW까지 확대해 나가겠다는 목표를 설정했다.

세계적으로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증가하고 발전원가는 하락하는 추세가 반영된 조치다. OECD 기준 신재생에너지 발전량은 2010년 624TWh에서 2016년 1243TWh 였다. 같은 기간 원전은 2192TWh에서 1,876TWh로 14% 줄었다. IEA는 OECD 신규 발전설비 투자 중 75.8%, 전 세계적으로는 신규투자의 67.5%를 재생에너지가 차지한다고 밝히고 있다.

균등화발전비용 전망 결과 2030년경 원전과 비슷한 수준이 될 것으로 예상됐다. [자료:산업부 재인용]

태양광·풍력의 균등화발전비용
앞서 IEA가 밝힌 자료에서 태양광의 균등화발전비용은 태양광의 경우, 일본과 영국을 제외할 경우 프랑스에 이어 우리나라 발전비용이 높다. 풍력의 경우도 한국은 일본에 이어 가장 높은 수준으로 미국과 중국에 비해 2배 이상 높다. 원자력의 균등화 발전비용이 중국과 비슷한 수준으로 낮고, 풍력과 태양광은 아직 다소 비용이 높다는 점을 밝힌 것이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은 IEA의 데이터를 기초해 재생에너지 발전원의 균등화발전비용을 추정했다. 태양광발전은 2013년에서 2035년까지 소규모 주택용은 kWh당 197원에서 91원으로, 대규모 발전용은 171원에서 77원으로, 수상 및 도로태양광은 216원에서 86원으로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이외 육상풍력의 균등화 발전비용은 같은 기간 동안 이용률에 따라 115~161원에서 70~98원으로 해상풍력은 242원에서 147원으로 하락할 것으로 전망했다.

결국 2030년경 화석에너지, 원전과 비슷한 수준이 된다는 것이다. 3020 이행 계획과 8차전력수급계획이 동반자이자 유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이유가 여기에 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