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313개 중견·중소기업에 4,635억원 지원한다.
  • 정한교 기자
  • 승인 2019.10.10 08: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월드클래스 300의 후속사업 ‘월드클래스+ 사업’ 예비타당성조사 통과

[인더스트리뉴스 정한교 기자] 정부가 국내 유망 중견기업 150개사를 선정해 적극 지원하기 위해 2단계 글로벌중견기업육성 프로젝트를 본격 추진한다.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신기술 개발역량과 독자적인 제품 경쟁력을 바탕으로 세계 시장에 도전하는 ‘글로벌 중견기업 육성프로젝트(변경 전 ‘월드클래스 300’)’를 다시 추진한다.

‘월드클래스 300’ 사업은 2011년부터 2018년까지 중견·중소기업 313개사를 선정해 지원했던 사업이다. 그러나 2018년 일몰로 신규 지원이 중단됐다. 최근 ‘월드클래스+ 사업’이 대규모 국가예산(총사업비 500억원 이상이면서 국가 재정지원 300억원 이상)이 투입되는 사업을 수행하기 전 과학기술적·정책적·경제적 타당성을 검증하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 다시 추진에 나선 것이다.

‘월드클래스+ 사업’은 2020년부터 2029년까지 유망 중견기업 150개사를 선정해 신산업분야 등 기술개발에 4,635억원(총사업비 9,135억원)을 지원한다. [사진=dreamstime]
‘월드클래스+ 사업’은 2020년부터 2029년까지 유망 중견기업 150개사를 선정해 신산업분야 등 기술개발에 4,635억원(총사업비 9,135억원)을 지원한다. [사진=dreamstime]

월드클래스 300의 후속사업인 ‘월드클래스+ 사업’은 2020년부터 2029년까지 유망 중견기업 150개사를 선정해 신산업분야 등 기술개발에 4,635억원(총사업비 9,135억원)을 지원한다.

‘월드클래스+ 사업’은 기업 성장을 위한 기술개발과제를 기업 주도적으로 발굴하는 바텀-업 R&D 지원방식의 ‘월드클래스 300’ 기본골격은 그대로 유지한다. 지원대상, 사업구조, 지원체계 등 세부사항들은 일부 보완·변경했다.

정체성 강화

지원대상을 중소·중견기업(월드클래스 300)에서 중견기업(월드클래스+)으로 조정해 중견기업 중심사업으로서 정체성을 강화했다. 이를 통해 정부의 기업지원 R&D사업을 ‘글로벌 강소기업(중소기업)→월드클래스+(중견·후보중견기업)’사업으로 명확히 구분, 중복성을 없애고 보다 체계적인 기업성장 사다리 지원체계를 구축했다.

기술개발 전략성 강화

성장잠재력이 있으나 내수시장 위주로 사업을 영위하고 있는 월드클래스 후보기업을 발굴해 16대 신산업분야 기술개발과 해외마케팅 지원 등을 통해 월드클래스 기업으로 성장하는 구조로 기획됐다. 이는 선행사업(월드클래스 300)이 월드클래스 수준의 기업들을 직접 선정, 기술개발을 지원한 것에 비해 기술개발의 전략성과 정부의 육성의지를 보다 강화한 것이다.

비R&D 지원시책 강화

선행사업에서 호평을 받은 월드챔프 사업 등 비R&D 지원시책도 보다 강화해 여러 정부 부처, 유관기관의 지원시책과 상호지원하는 방식으로 운영하면서 지속적으로 발굴·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월드클래스300’에서 ‘월드클래스+’로 사업 구조 변화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월드클래스300’에서 ‘월드클래스+’로 사업 구조 변화 [자료=산업통상자원부]

이를 위해 중견기업 지원사업을 운영하는 기관(한국산업기술진흥원 등)들이 참여하는 ‘월드클래스+ 서포터즈’를 구성·운영할 계획이다.

예비타당성조사 통과는 대외 환경변화에 대응하기 위한 중견기업 지원수단이 마련되었다는 점에서도 의의가 있다. 산업부는 앞으로 소재·부품·장비 기업 과제 선정비중을 40%까지 끌어올려 대외 불확실성 극복에 적극 노력하겠다는 입장이다.

산업통상자원부 조영신 중견기업정책관은 “과거 월드클래스 300 사업이 기술개발, 해외마케팅 등 기업성장 지원정책으로서 호평을 받았으나, 2018년 일몰돼 역량있는 중견기업 발굴·지원에 어려움이 있었다”며, “과기부, 중기부 등 관계부처와 협력해 후속사업을 마련한 만큼, 향후 유망한 중견(후보)기업을 제대로 발굴, 성장을 지원해 우리 경제의 허리를 튼튼하게 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중견기업이 우수한 기술역량과 사업경험을 바탕으로 소재·부품·장비 분야의 상생협력 주체로서 다수 포진해 있는 만큼, 앞으로 ‘월드 클래스+’ 사업을 통해 소재·부품·장비 육성 등 대내외 불확실성 완화에도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